국민안전처가 보낸 긴급 재난 문자의 실효성 논란이 불거졌다. 문자를 받아 본 사람들이 알람만 요란할 뿐 문자 내용이 별게 없어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구형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1500만명은 재난 문자를 받지 못한다는 보도까지 나와 실효성 논란이 더욱 거세졌다.
KBS는 11일 “폭염이 기승을 부리던 지난 주 국민안전처가 보낸 긴급 재난 문자에는 이미 다 아는 내용 뿐 이었다”며 “3세대 휴대전화 이용자 130만 명과 2013년 이전에 출시된 일부 4세대 휴대전화 단말기에서는 수신조차 되지 않아 국민 1500만명이 받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아울러 매체는 “국민안전처는 3세대 구형 휴대전화 사용자가 급감하는 상황에서 굳이 기술 개발에 예산을 쓸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라며 “이 때문에 최신 통신 기술을 통해서만 전달됐다”고 전했다.
KBS는 또 오병일 진보네티워크센터 정책활동가의 말을 인용해 “일정한 투자를 하면 해결할 수 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가 공공 서비스를 받지 못한다는 것은 일종의 국민 차별”이라고 지적했다.
뉴스를 접한 네티즌들은 알람만 요란할 뿐 실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는 재난 문자가 필요한 지 의문이라는 반응이 줄을 이었다.
한 네티즌은 “누구나 다 아는 내용을 세금을 써가며 큰일 난 것처럼 보낼 필요가 있냐”고 반문했고 다른 네티즌도 “내용을 보고 더운데 어쩌라는 건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재난 문자가 재난”이라고 쓴 댓글에는 5300여건의 공감을 받았고 “문자도착 신호가 요란해 보니 황당했다”고 적은 댓글도 4900여건의 공감을 얻는 등 비난 댓글에 네티즌 공감이 이어졌다. 요란한 사이렌 소리에 전쟁 난 줄 알았다는 의견도 잇따랐다.
수신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발끈한 네티즌도 적지 않았다. 한 네티즌은 “문자 보내는 데 얼마나 든다고 그러냐”며 “1000명 중 한명이라도 도움을 줘 사고를 예방하겠다는 취진데 누구는 받고 누구는 못 받는다면 무슨 소용이냐”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메르스 때도 못 받아 본 문자” “폭염 시 문자 받고 경각심이 생겼다” 등의 반론을 제기한 네티즌도 있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요란한 사이렌에 전쟁난 줄 알았다”…긴급 재난 문자 실효성 논란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