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은 심뇌혈관질환을 부르는 위험인자다. 그런데 비만의 전 단계, 즉 약간 살이 찐 정도의 과체중 상태는 뇌경색이 와도 좀처럼 가볍게 와서 치명적인 후유증을 가져오는 중증 상태에 빠질 위험이 적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이른바 ‘비만의 역설’이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신경과 이승훈(사진) 교수팀이 부천성모병원 신경과 김예림 전임의와 함께 2002년 10월부터 2013년 5월까지 10년7개월간 급성 뇌경색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은 2670명을 비만도(BMI)에 따라 5개 그룹으로 나눈 후, 발병 초기 뇌경색 강도(NIHSS 점수)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NIHSS는 뇌경색 환자의 의식, 신경학적 기능, 운동, 후유증 등을 평가하는 척도로, 연구진은 0~7점은 경증, 8점 이상은 중증 뇌경색으로 분류했다.
연구결과, 비만도가 21.2㎏/㎡ 이하 그룹의 중증 뇌경색 발생률을 100%라고 봤을 때, △21.2~23.0㎏/㎡ 그룹은 65%, △23.1~24.5㎏/㎡ 그룹은 48%, △24.6~26.2㎏/㎡ 그룹은 39%, △26.3㎏/㎡ 이상 그룹은 31%로 각각 조사됐다. 즉 비만도가 높을수록 중증 뇌경색 발생률이 낮았다는 뜻이. 이는 환자의 예후에도 영향을 미쳐, 비만도가 높은 환자일수록, 3개월째부터 회복 속도가 빨랐다.
이 교수팀은 이에 대해 단순히 비만도가 높아서 좋아지는 것이라기보다는 비만도가 높을수록 중증 뇌경색 발생률이 낮은 관계로 회복 속도도 빨라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말하자면 일반적인 상식과 달리 비만 환자가 정상 체중의 환자보다 더 오래 산다는 비만의 역설이 뇌경색 발생에도 적용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실제 비만 환자가 정상 체중의 환자보다 뇌졸중 발생 후 생존기간이 더 길다는 연구결과도 나오고 있다.
이런 일이 벌어지는 이유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단순히 뚱뚱할수록 오래 사는 것이라고 치부하기엔 아직 우리가 모르는 맹점이나 숨겨진 의학적 현상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대혈관의 동맥경화나 심장질환에 의해 뇌혈관이 막힐 경우 뇌경색이 심하게 오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비만 환자들은 대체로 경미하게 발생하는 소혈관 폐색에 의한 뇌경색이 많은 게 한 원인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물론 비만한 환자가 일상생활 중 정상 체중의 일반인보다 더 적극적으로 뇌혈관 위험인자를 조절한 덕분일 수도 있다.
연구결과는 신경정신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저널 오브 뉴롤로지, 뉴로서서저리 앤드 사이키아트리’(JNNP)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비만의 역설, 비만한 사람은 중풍이 와도 약하게 온다고요?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