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춤의 거목’ 우봉 이매방(본명·이규태) 명인이 7일 88세로 타계했다.
1927년 전남 목포 출생인 고인은 목포권번의 춤을 잇는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1987년)와 제97호 살풀이춤(1990년) 예능 보유자다. 호남춤을 통합해 무대 양식화한 ‘호남춤의 최고봉’이었다.
고인은 옆집에 살던 목포권번(기생들의 조합)장의 권유로 사내아이로는 드물게 7세에 권번학교에 들어가 춤을 배웠다. 이후 명인 이대조 선생에게서 승무, 박용구 선생에게 승무북, 이창조 선생에게서 검무를 배웠다. 또 초등학교 때 5년간 중국에 살면서 전설적 중국무용가 매난방으로부터 칼춤과 등불춤을 익혔다. 15살 때 판소리 명창 임방울 공연에서 춤을 추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고인은 지금까지 200여명의 제자를 길러냈다.
특히 그의 승무는 고고하고 단아한 정중동 춤사위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98년 프랑스 아비뇽 문화제 한국축제에서 선보인 승무에 대해 르몽드지는 “온몸에 축적된 에너지가 춤을 통해 손 주위로 번지고 북채를 통해 밤으로 퍼지는 음악이 되고 있다”고 찬사를 보낸 바 있다. 살풀이춤은 한과 신명을 동시에 드러낸다는 칭송을 받았다.
손수 재봉질한 의상을 입고 무대에 오르는 것으로도 유명했다. 춤사위와 음악은 물론 의상도 예술의 한 부분이라는 생각으로 의상과 소품까지 직접 챙겼고, 제자들 의상까지 직접 만들어줄 만큼 열의가 넘쳤다.
고인은 생전에 다시 태어나도 춤추는 인생을 살겠다면서 마지막까지 예술혼을 놓지 않았다. 지난해 8월 제자들이 연 ‘우봉 이매방 전통춤 공연’에서 직접 무대에 올랐으며, 올해 하반기에도 공연이 예정돼 있었다. 성기숙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는 “고인은 교방춤을 무대로 승화시켜 전통무용의 패러다임을 바꾼 춤의 천재”라며 “전통춤의 원형을 간직한 그의 타계는 한국춤의 한 시대가 진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1984년 옥관문화훈장, 1998년 프랑스 예술문화훈장, 2004년 임방울 국악상, 2011년 제12회 대한민국 국회대상 공로상 등을 수상했다. 유족은 부인 김명자씨와 딸 이현주, 사위 이석열씨가 있다. 빈소는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14호실이며 발인은 10일 오전, 장지는 미정이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한국춤의 거목’ 이매방 명인 타계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