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산하 공기업,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둘러싸고 속앓이

Է:2015-08-04 16:01
ϱ
ũ
광주시 산하 공기업들이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과정에서 남모를 고민에 빠졌다. 고용안정과 경영성과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광주시도시철도공사는 “최근 시 본청에서 청소·경비 등 용역 근로자를 직접 고용으로 전환하라는 공문을 보내왔다”고 4일 밝혔다. 다음 달 계약이 끝나는 도시철도공사 소속 전환 대상은 위탁 역무원 167명과 청소 75명 등 337명으로 철도기관사 등 전체 정규직 550명과 맘먹는다. 시와 산하 공기업, 출자·출연기관에서 연말까지 용역 계약이 만료되는 정규직 전환 대상자는 총 13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앞서 시는 용역사 소속이던 본청 청소·시설 근로자 74명을 정규직으로 채용했다. 김대중컨벤션센터도 지난달 용역 근로자 73명의 정규직 전환절차에 들어갔다. 일단 기간제 신분으로 바뀐 근로자들은 2년 뒤 정년이 보장되는 무기계약직으로 고용계약을 다시 맺게 된다.

광주지역 공공부문의 정규직 전환은 민선 6기 윤장현 시장의 공약에 따른 것이다. 시는 공기업과 출자·출연기관의 직접 고용을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정규직 전환은 공기업의 경영수익과는 배치되는 것으로 ‘뜨거운 감자’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더구나 전문기관의 용역 결과가 나오기 전에 너무 서두른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

시는 올 초 모 연구소에 9000만원을 들여 비정규직의 합리적 정규직화를 위한 연구용역을 의뢰했다. 이달 중 나올 최종 보고서에서는 자회사를 설립해 용역 근로자를 관리하거나 시설관리공단을 별도 설립하는 방안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행정자치부도 최근 지자체의 기간제 근로자 신규채용과 정규직 전환은 지방공기업 인사운영 기준에 따라 공채로 진행돼야 한다며 광주시의 획일적 전환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모 공기업 관계자는 “정규직 전환은 결국 인건비 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용역 근로자의 고용안정을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게 유일한 해법”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