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노동자 7명 가운데 1명은 최저임금 이하의 급여를 받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는 주요 20개국 평균의 2.7배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웃나라인 일본의 7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한국에서 대기업 노동자들의 임금이 국제 사회에서 낮은 편이 아니라는 점을 감안하면 국내 노동자간 임금의 양극화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는 점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3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고용 전망 2015'(OECD Employment Outlook 2015) 보고서에 따르면 회원국 20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최저 임금 또는 그 이하 소득의 노동자 비율은 평균 5.5%다.
한국의 최저임금 또는 그 이하 노동자 비율은 14.7%(2013년 기준)로 조사대상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미국의 이 비중은 4.3%, 캐나다는 6.7%다. 시간제 노동이 발달한 일본에서는 최저임금 이하 소득의 노동자가 전체의 2%에 불과했다.
최저임금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뉴질랜드에서도 이 같은 노동자 비중은 2.5%에 그쳤다.
OECD 회원국 가운데 한국과 사정이 비슷한 국가는 발트해 3국 중 하나인 라트비아다.
라트비아의 최저임금 이하 노동자 비중은 14.2%(2010년 기준)로 한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OECD는 보고서에는 “일본과 한국의 정규직 중위임금 대비 최저임금 비율은 비슷하지만 최저임금 이하의 돈을 받고 일하는 노동자의 비중은 현저히 다르다”고 설명했다.
이 통계는 각국 2013년 조사 결과와 2010년 유럽연합(EU)의 조사를 비교한 것으로 EU 국가의 경우 최저임금의 105% 미만을 받는 노동자를 조사하되 10인 이하 사업장은 조사 대상에 넣지 않았다. “설문조사의 특성상 각국의 자체 조사 결과에 최저임금 이하 노동자가 포함되지 않았을 수 있다”고 OECD는 덧붙였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韓 노동자 7명 중 1명은 최저임금…OECD국가 중 최고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