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수출기업의 수출지속률이 과거에 비해 개선된 가운데 국가별로는 대(對)중국수출기업의 수출지속률이 미국, 일본, EU, ASEAN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27일 중기청?중진공과 공동 발간한 ‘신규 수출기업의 수출 지속?중단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09~2014년 신규 수출업체 8만7000개사(社)를 조사한 결과, 신규 수출기업의 수출지속률은 1년 후 54.6%, 3년후 34.7%, 5년후 25.6%로 신규 수출기업 100곳 중 26개사만이 5년 후까지 생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03~2008년 수출호황 시기에 비해 소폭 개선된 것으로 수출기업의 생존력이 다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중고차, 플라스틱, 의류 등 비제조 중심의 품목에서 신규 진입과 중단이 빈번해 수출업체의 변동이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화공품, 기계류 등 제조 중심 품목에서는 수출중단이 낮은 편이었다.
국가별로는 최대 수출국인 중국에서 신규 진입과 중단이 빈번했는데, 대중 신규업체 비중은 감소한 반면, 대중 중단업체 비중은 상승하여 대중 수출여건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수출지속률에서도 대중 수출기업의 5년 수출지속률이 19.9%에 그쳐 22~26%에 달하는 미국, 일본, EU, ASEAN 등의 5년 수출지속률에 비해 낮았다. 그만큼 중국시장에서 생존하기가 가장 어려운 셈이다.
국제무역연구원 장상식 연구위원은 “2014년 수출중단 업체의 전년도 수출총액이 20억달러에 달해 수출지속률을 높이면 상당한 수출증대 효과뿐 아니라 미래 수출산업 육성에도 기여하게 된다”면서 “중국시장의 경우 일회성 또는 단순 매칭형 지원보다는 거점별 현지유통망 연계 및 국내기업간 협력확대, 현지화 지원강화 등 중국내 진입장벽 완화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신규 수출기업 수출지속률, 주요국 중 중국서 가장 낮아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