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형 주택임대를 활성화하면 가계부채의 증가 등 부작용을 완화하고 부동산 가격 급락 위험도 완충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금융연구원 연태훈 선임연구원은 19일 ‘기업형 주택임대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보고서에서 주택보유에 쏠린 가계 자산구조가 가계부채와 맞물려 한국경제에 큰 위협으로 작용한다며 대안으로 기업형 주택임대 활성화를 제안했다.
연 연구원은 “왜곡된 가계 자산구조와 과도한 가계부채는 구조적 소비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경기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다”며 “개인적, 사회적으로 적절한 자산구성과 부채수준을 갖도록 변화를 유도해야 경제의 면역력을 높이고 개인의 합리적 소비생활을 회복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주택임차가 충분한 매력을 지녀야 하지만 현재 개인사업자 위주의 주택임대 시장은 해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며 기업형 임대주택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일본과 미국의 부동산 가격 급락 시기에 주택임대기업이 급증하면서 가격하락에 제동을 건 사례를 들면서 기업형 주택임대가 부동산 가격급락을 완화하는 완충기제로도 인정받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태희 선임기자 th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기업형 주택임대 활성화하면 가계부채 완화· 부동산 하락기 완충 역할”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