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암 세포가 스스로 죽게 만드는 단백질을 새로 발견됐다. 새로운 ‘타깃(표적) 항암제’ 개발이 기대된다.
연세대 의대 윤호근 교수와 울산대 의대 최경철 교수팀은 위암세포의 자살을 유도하는 세포사멸유도단백질(PDCD5)의 기능과 작동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온라인판 최신호에 발표됐다.
항암 치료는 보통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방법을 쓴다. 세포 사멸은 비정상적이거나 손상된 세포, 노화된 세포가 스스로 죽어 없어지도록 몸속에 입력돼 있는 프로그램이다. ‘p53’이 세포 사멸을 유도해 암을 없애는 대표적 단백질이다. 반면 ‘HDAC3’은 p53의 활성을 방해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왔다.
연구진은 7년간 암세포 사멸에 관여하는 단백질과 유전자 변화를 분석한 결과 ‘PDCD5’ 단백질이 ‘p53’을 활성화시키고 ‘HDAC3’의 기능을 잃게 한다는 사실을 찾아냈다. 윤 교수는 “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PDCD5가 적게 나타날 경우 생존율이 크게 떨어지고, PDCD5를 통해 p53을 활성화하면 암세포에서 종양이 자라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암세포 스스로 죽게 만드는 새로운 단백질 발견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