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공대가 연구의 질보다 양을 강조하는 시스템 때문에 탁월한 연구 성과가 부족했다는 자기반성을 담은 백서를 내놨다.
13일 서울대에 따르면 공대는 최근 ‘좋은 대학을 넘어 탁월한 대학으로’라는 백서를 내고 서울대 공대가 그동안의 양적 확대에도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한 면을 반성했다. 백서에서 공대 측은 “서울대는 연구성과와 세계적 인지도가 부족하고 무엇보다도 탁월한 연구 성과를 내는 교수가 적다. 교수들에게 단기간에 성과를 보일 것을 강요하고 연구의 질보다 양을 강조하는 시스템 때문에 서울공대에서는 야구로 비유한다면 번트를 치더라도 꾸준히 1루에 진출하는 타자가 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학문의 세계에서는 만루 홈런만이 기억된다. 탁월한 연구 성과는 언제 얻을 수 있을지 예측 불가능하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낮은 성공확률에 도전할 수 있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 백서는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지원이 많지 않은 점, 교수들이 과도한 수업부담과 외부활동 때문에 바쁜 점, 교수들의 학문적 소통이 부족한 점, 우리나라의 산업이 빠른 추종자에 머무른다는 점을 지적했다. 백화점식 연구, 시대의 유행만을 쫓아다니는 동네 축구식 연구도 비판했다.
백서는 “과거 이룩한 성취와 좋은 대학의 명성에 만족하지 말고 사회 전체의 미래에 희망을 불어넣는 창의와 가능성의 산실이 돼야 한다. 위기의식을 가지고 안정지대에 머무르고 있는 교수와 학교 시스템의 개혁을 희망하며 백서를 발간한다”고 강조했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백화점식, 동네축구식 연구… 서울대 공대의 '반성'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