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한국과 일본의 대립이 아닌 인권이라는 보편적 관점에서 양국이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일본 도쿄대 한국학 연구부문장인 기미야 다다시(木宮正史) 교수는 “‘한국 대(對) 일본’, ‘정의 대 불의’라는 도식이 아니라 ‘전시(戰時) 하에서의 여성 인권 침해’라는 공통적·보편적인 문제의식에 기반을 두면 위안부 문제 공동 해결이 가능하지 않겠느냐”고 12일 말했다.
그는 한일수교 50주년을 기념해 이날 도쿄대 고마바(駒場) 캠퍼스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한국과 일본 사이에 시장경제와 민주주의 등 가치관을 공유하는 이른바 ‘균질화’가 두드러졌다고 분석하고 이같이 언급했다.
기미야 교수는 “(자신이 설정한 가치에) 상대가 합치하지 않는 것에 분개해 설득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가치관을 공유하는 부분을 서로 인식하고 그에 따라 문제 해결을 모색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겠느냐”며 발상을 전환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냉전 종식 후 한국이 정치·경제적으로 성장해 한일 관계에서 수평화, 균질화, 다양·다층화, 쌍방화라는 변화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기미야 교수는 이런 변화가 역사 인식이나 현안에 대한 대립이 부각하고 상호 불신이 증폭하는 결과를 낳았지만 동시에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되기도 한다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예로 들었다.
그는 한국과 일본의 관계가 정치·경제만이 아닌 사회·문화 영역으로 다층·다양화하면서 여러 정보가 난무하는 가운데 상대국에 대한 강경론이 대두해 양국 정부가 이를 조절하지 못하고 끌려가는 상황이 벌어진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기미야 교수는 관계 다층·다양화로 그물망 같은 네트워크가 형성돼 “한일 관계가 극적인 대립 관계로 상승하는 것을 상당한 수준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한일 관계의 변화가 낳은 새로운 가능성을 거론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위안부문제, 韓·日 차원 아닌 ‘여성인권’ 관점서 보자”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