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당청 친정체제 구축과 사정으로 레임덕 막는다...개각설도 솔솔

Է:2015-07-12 17:02
ϱ
ũ
朴대통령, 당청 친정체제 구축과 사정으로 레임덕 막는다...개각설도 솔솔
박근혜 대통령이 당·정·청 친위체제 구축으로 ‘유승민 정국’으로 어수선한 당·청 상황을 조기 수습하고, 집권 후반기 경제활성화에 올인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정치권에 대한 ‘전방위 사정 드라이브’도 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친위 체제 구축’과 ‘사정’으로 레임덕을 막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새누리당의 친정체제 핵심은 사무총장 인선이다. 3선의 황진하 의원이 유력하다. 박 대통령의 당 대표 시절 안보특보를 맡았던 ‘친박(친박근혜)계’다. 계파색이 옅은 원유철 원내대표 후보와 김정훈 정책위의장 후보를 전면에 세웠지만, 황 의원의 당내 영향력이 상당할 것이란 관측이다.

54일째 공석이던 청와대 정무수석에 ‘친박 핵심’인 현기환 전 의원이 임명된 점도 같은 맥락이다.

현 수석은 박 대통령의 ‘비대위’ 시절 공직후보자추천위원을 맡으면서 공천에 깊숙이 개입한 전력이 있다. 이런 탓에 현 수석의 ‘발탁’이 내년 총선용이라는 시각도 있다. 김재원·윤상현 등 대통령 정무특보의 역할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일각에선 박 대통령이 전격적인 ‘인적 쇄신’ 카드를 꺼낼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과 일부 수석들이 대상이다. 이 실장은 성완종 리스트 파문에 연루돼 동력을 잃었고 ‘문고리 3인방’과의 마찰설도 나오고 있다.

이미 예정된 개각도 관심사다. 메르스 사태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의 경질이 확실시되고 있다. 일부 경제부처 장관들과 정치인 출신 인사들의 교체 가능성이 흘러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은 당·정·청 ‘친위체제’ 구축과 동시에 검사 출신인 황교안 국무총리와 김현웅 법무부장관을 필두로 정치권을 비롯해 공직과 경제계까지 전방위 사정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보인다. 감사원 사무총장에 25년 만에 내부 승진인사가 아닌 검찰 출신 외부인사, 그것도 여권 핵심부와 가까운 인사를 영입하려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