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김상곤 혁신위’가 생사기로에 섰다. 33일 동안 온 힘을 쏟아 만든 혁신안이 13일 당무위원회에 부쳐져 통과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미 혁신안은 이를 놓고 당내 계파간 정면충동 양상도 낳고 있다.
친노(친노무현)의 대표주자인 문재인 대표는 “다른 대안이 없다”며 당무위 및 중앙위 의결을 촉구한 반면, 최고위원을 사퇴한 비주류 주승용 의원은 “해경 해체식 혁신”이라 비판하며 전당원의 의사를 물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문 대표는 12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혁신안이 당무위를 통과할지) 낙관할 수 없다”면서도 “당무위와 중앙위에서 받아들여 이번에는 제대로 실천할 수 있도록 위원들을 설득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고통 없고 두려움 없는 혁신은 혁신이 아니다”며 “한 번 해보자는 의지와 열정을 가져야 한다”고 거듭 독려하기도 했다.
문 대표는 그동안 ‘대표 권한 비대화’ 논란을 낳았던 ‘선출직 공직자 평가위원회’ 구성권을 혁신위에 넘기겠다는 것도 시사했다. 그는 “그것(평가위)을 움켜쥐고 (권한을) 행사할 생각이 전혀 없다. 혁신위에 맡기는 게 공론으로 모아지면 못 할 바 없다”고 했다. 자신부터 기득권을 내려놓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그러나 비주류 측은 즉각 반발했다. 주 의원은 페이스북에 혁신안을 조목조목 비판하며 ‘전당대회 의결’을 제안했다. 주 의원은 “최근 발표된 혁신안은 계파 패권정치 청산이 아니라 패권정치 강화로 귀결되고 있다”며 “(세월호 사태 이후 정부가 단행한) 해경 해체식 선언이며, 시대를 역행하는 하향식 혁신”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어 “충분한 의견 수렴과 토론 절차가 배제된 채 회의가 열리기 때문에 논란이 불가피하다”며 “(당무위가 열리는) 이번 주가 첫 고비가 될 것”이라고 했다. 주 의원은 전 당원 토론과 혁신안의 전당대회 의결도 요구했다.
혁신안의 채택 여부는 당내 의견이 엇갈린다. 치열한 토론 끝에 당무위는 통과할 것이란 예측이 현재로선 지배적이다. 지도부의 한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금 혁신위가 ‘통과시켜 주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은 분위기’로 몰아가는 것 아니냐”며 “혁신안이 마음에 드는 건 아니지만, 당무위는 통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중앙위 통과 전망은 불투명하다. 고위 당직자 중심의 당무위에 비해 소속 국회의원 전원과 지역위원장까지 참여하는 중앙위에서는 훨씬 다양한 의견이 쏟아져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재선의원은 “중앙위를 연기하는 한이 있더라도 일단 공론화 절차부터 거쳐야 한다”며 “혁신위 혼자 결정한 이번 안을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혁신안을 놓고 또 ‘고질병’인 계파갈등이 빚어지자, 일각에선 이번 혁신안 통과 여부가 ‘문재인 리더십’의 가늠자 구실을 할 것이란 평가도 나온다. 한 당직자는 “대표가 혁신안을 통과시키는 것보다 어떻게 통과시키는 지가 더 중요하다”고 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문재인-주승용 혁신안 의결 놓고 충돌...13일 당무위 시험대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