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창조경제센터 추천기업, M&A 때 대기업집단 편입유예”

Է:2015-07-09 10:34
ϱ
ũ
이르면 올해 연말께부터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추천한 기업을 대기업이 인수·합병하면 7년간 대기업집단에 계열편입이 유예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7일 이런 내용을 담은 ‘창조경제혁신센터 기능 확충 계획’을 관계부처와 함께 마련한 뒤 국무회의에 상정해 확정했다고 9일 밝혔다. 이 계획은 창업 지원, 중소기업 육성 지원, 지역별 특화산업 육성 등의 기능을 담당해온 지역별 창조경제센터의 역량을 확충해 국가 전체를 '창업 허브화'한다는 구상을 담았다.

확충 계획은 크게 ▲ 창조경제센터 운영 기반 확충 ▲ 창조경제센터의 지역 거점화 ▲ 창조경제센터 중심의 협업체계 구축 등 세 갈래로 나뉜다.

우선 운영 기반 확충과 관련해서는 경남 창조경제센터가 도입한 '온라인 사전문진 서비스'가 모든 센터로 확대된다. 이 서비스는 창업 수요자가 온라인으로 창업 아이디어와 상용화 수준, 재무 상황 등을 입력하는 '사전문진'을 통해 맞춤형 상담을 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런 여건과 상황에 맞춰 멘토링이나 기술개발, 자금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해줄 방침이다.

기업들의 관심이 높은 금융 상담 분야에선 산업은행, 기업은행 등 더 많은 정책금융기관을 상담 파트너로 확보하기로 했다. 창조경제센터 사업과 정부 관계부처 및 지역 혁신기관(테크노파크·중소기업진흥공단·창업보육센터 등)의 사업 간 연계도 강화된다.

창조경제센터가 지역에서 창업 붐을 일으키고 기업 애로사항을 풀어주는 지역거점으로 자리 잡도록 하는 사업도 강화된다. 우선 M&A 활성화, 일반 투자자 참여 확대, 기술금융 제공 등 창업기업을 위한 금융 환경을 개선한다. 이에 따라 금융회사 및 창조경제센터가 함께 우수 기술기업을 발굴해 기업공개(IPO) 및 M&A를 밀착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창조경제센터가 추천한 기업을 대기업이 M&A할 때 7년간 대기업집단 계열 편입을 유예해줄 계획이다. 이렇게 하면 대기업의 부담이 적어져 적극적으로 M&A에 나설 수 있게 되고 창업자나 투자자 입장에선 투자금의 회수가 빨라져 창업 생태계의 선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창조경제센터의 추천 요건과 절차, 이를 허용할 때의 부작용 차단 방안 등은 대통령령에 담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미래부는 이를 위해 공정거래위원회 및 중소기업청과 협의해 이르면 올 연말 이전 관련 시행령들을 개정하고 시행에 들어간다는 목표다.

창조경제센터 간 연계·네트워킹과 융합도 강화된다. 이를 통해 센터가 기능별 클러스터의 거점 노릇을 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창조경제센터별로 특화된 산업과 연관이 있는 공기업 간에 분과협의회를 꾸려 상호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기로 했다. 농식품에 특화된 세종·강원센터(스마트 팜), 전북센터(식품 가공), 충남센터(상품성 제고·명품화) 등을 농수산물유통공사나 익산 식품클러스터와 묶어주는 식이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