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회피 日정부 엄중경고” 亞연대회의 결의문 채택

Է:2015-05-24 15:22
ϱ
ũ
“위안부 회피 日정부 엄중경고” 亞연대회의 결의문 채택
제13회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이하 아시아연대회의)’가 23일 2박3일 일정을 마무리하며 “전후 70년간 위안부 문제 해결을 회피하는 일본 정부의 반평화적 행보에 엄중한 경고를 보낸다”고 밝혔다. 아시아연대회의는 서울 동작구 서울여성플라자에서 폐회식을 갖고 일본 정부와 국제사회의 행동을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해 주한일본대사관에 전달했다. 아시아연대회의는 1992년부터 세계 각국을 돌며 회의를 열어 위안부 문제를 논의해 왔다. 올해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주최로 서울에서 21일부터 회의를 열어 생존자 지원활동, 국내외 주요 상황과 쟁점·과제 등을 논의했다.

이들은 결의문을 통해 아베 정권이 ‘고노 담화’를 계승해 위안부 범죄에 대한 국가 책임을 명확히 밝히고 ‘무라야마 담화’에서 표명한 침략과 식민지배 범죄에 대한 진심 어린 반성·사죄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같은 내용의 12차 회의 제언을 일본 정부가 이행하지 않은 점도 지적하며 다시 이행을 촉구했다.

피해국 정부에는 일본 정부에 압력을 가하는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피해자 인권과 명예를 회복하라고 당부했다. 국제사회를 향해 과거 연합군 정부가 보관했던 위안부 범죄 자료를 공개해 유엔 차원의 진상조사를 벌이고 일본의 범죄 부인을 제재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번 회의에는 필리핀 위안부피해여성단체 ‘릴라 필리피나’ 소속의 에스테리타 바스바뇨 디, 피덴샤 데이비드(필리핀) 할머니와 하상숙 길원옥 이용수 김복동 할머니 등 위안부 피해자와 8개국 활동가들이 참석했다.

에스테리타 바스나뇨 디(85·여)씨는 릴라 필리피나 소속 위안부 피해여성 174명 중 생존한 95명 가운데 한 명이다. 14세였던 1944년 시장에서 닭과 달걀을 팔다가 일본군 주둔지로 끌려가 3주간 성폭행을 당했다. 그는 “내가 살아있는 동안 사죄를 받길 바란다”며 “다른 나라 피해여성과 연대해 필리핀과 일본의 변화를 이끌어내겠다”고 말했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