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의 리더십이 또 한번 흔들리면서 주춤했던 비노진영의 책임론이 다시 거세지는 모양새다.
김한길 전 대표는 20일 대표직 사퇴 후 처음으로 기자간담회를 열어 문 대표의 최근 '미발표 문건'을 겨냥해 "계파주의 전형의 독선과 자만심을 보였다"고 비난하면서 "오늘이라도 친노 패권정치를 청산하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기자들에게 "안 전 대표와 통화를 해 혁신기구 위원장 거절 의사를 들었다"면서 "이미 우리 당에 혁신안은 충분하다. 계파 기득권을 내려놓는 것이 혁신의 출발점"이라고 했다.
친노진영에서는 이를 두고 안 전 대표의 혁신위원장 거부로 문 대표가 코너에 몰리자 '흔들기'에 나섰다며 불쾌한 기색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당 관계자는 "안 전 대표의 혁신위원장 카드가 떠오르며 잠잠해졌던 '사퇴론'이 다시 불거질 수 있다"면서 "여기에 신당론·분당론까지 다시 새어나올 경우 이전보다 더 극심한 혼란에 빠져들 수 있다"고 우려했다.
내홍이 장기화하면서 초·재선 의원들을 중심으로 지도부의 자성과 구성원들의 단결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터져나왔다.
김상희 우원식 우상호 이목희 김성주 김현 남인순 박홍근 이언주 이학영 장하나 최민희 의원은 이날 성명을 내고 "친노-비노 갈등의 프레임을 벗어나지 못한다면 총선과 대선의 승리는 불가능할 것"이라며 "친노-비노 대립구도 타파를 당의 핵심 과제로 설정하고 조건없는 단합을 실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친노 인사건 비노 인사건 서로 공개적인 비판은 자제해야 하며, 오로지 당의 공식 기구와 의원총회 등을 통해 공론을 만들어야 한다"면서 "원로 선배들 께서도 분열을 조장하는 언행이 아닌 단합을 위한 고언을 해달라"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사퇴 의사를 밝힌 주승용 최고위원의 조소한 복귀, 정청래 최고위원의 더 진정성 있는 성찰과 자숙, 안 전 대표의 혁신위원장직 수락 등을 요청했다.
문 대표 등 지도부를 향해서도 "우선 상황을 수습한 후에 국민들과 당원들께 석고대죄의 자세로 사과해야 한다"면서 "지도부로서 마지막 기회라는 위기의식을 갖고 달라진 리더십을 보여야 한다"고 쓴 소리를 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마지막 기회만 남았다?“ 비노세력, 문재인 책임론 다시 거론 활활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