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한국 경제의 ‘회복론’을 뒷받침하는 지표가 나왔다.
14일 OECD에 따르면 한국의 3월 기준 경기선행지수(CLI)는 102.0으로 2010년 4월(102.1) 이후 3년11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OECD 경기선행지수는 6∼9개월 뒤 경기 흐름을 예측하는 지표로, 재고순환지표·주가지수·장단기 금리차·제조업 경기 전망 등을 근거로 산출된다. 지수가 100을 넘으면 경기가 확장적 국면이라는 뜻이다. 이 지표가 들어맞으면 한국의 경기회복세는 올 하반기로 갈수록 강해지게 된다.
한국의 3월 OECD 경기선행지수는 전월과 비교해서는 0.2포인트 높아졌으며 9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한국 지수는 38개국 가운데 슬로베니아(102.8), 스페인(102.5), 에스토니아(102.1)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다. 경기 둔화를 겪고 있는 중국은 작년 9월 99.3에서 6개월 연속 내리막길을 걸어 올해 3월 지수가 98.7까지 떨어졌다. OECD 전체 평균은 100.1로 전월의 100.2보다 소폭 낮아졌다.
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OECD 한국의 경기선행지수 3년11개월 만에 최고치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