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그야말로 벼랑 끝에 섰다.
4·29 재보선 전패의 후폭풍 속에서 예기치않게 불거진 주승용 최고위원의 사퇴 파동을 맞닥뜨리면서 대표 취임 이후 최대 위기를 맞았다. 재보선 전패에 이어 이번 사태를 조기에 해결하지 못할 경우 문 대표로선 리더십의 '총체적 붕괴'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특히 문 대표 스스로 밝혔듯 이번 기회에 '친노 수장'이라는 꼬리표를 떼어내지 못한다면 당 대표로서도, 대권주자로서도 그의 미래를 기약하기 어렵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그가 위기 돌파를 위한 '특단의 카드'를 내놓으며 '두 번째 죽을 고비'를 넘길지 주목된다.
문 대표는 1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정청래 최고위원의 '공갈 발언' 논란으로 촉발된 주 최고위원의 사퇴 등 일련의 지도부 난맥상에 대해 대국민 사과를 하며 수습을 시도했다.
지도부내 유일한 비노(비노무현)계 호남 인사인 주 최고위원을 향해서도 당무복귀를 간곡히 요청했다.
문 대표는 전날 밤 정 최고위원의 지역구인 마포로 달려가 '소주 회동'을 통해 설득한 끝에 일단 정 최고위원의 '여수행' 사과를 끌어냈다.
하지만 여전히 사퇴 의사를 굽히지 않고 있는 주 최고위원의 거취 문제는 해소되지 않은 상황이다.
정 최고위원의 여수행에 "정 최고위원이 성의를 갖고 갔으니 잘하리라 믿고 주 최고위원도 마음을 풀어가는 하나의 큰 전환점이 됐으면 좋겠다"고 했던 문 대표는 '빈손 상경' 소식에 "시간이 좀 필요할 수 있다"며 "더 노력을 해야겠죠"라고 햇다.
직접 여수를 찾을 것이냐는 질문에는 "더 두고 보자"고 말을 아꼈다.
당 핵심 관계자는 "사과 하지 않겠다고 버티던 정 최고위원이 사과하도록 한 것은 어쨌든 문 대표가 해낸 일"이라며 "어차피 오늘 바로 모든 게 해결되기는 힘든 일 아니었느냐.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 안팎에서는 정 최고위원의 사과로 끝날 일이 아니라는 여론도 만만치 않아 문 대표의 정치력도 다시 한번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한 중진의원은 "규율있는 정당을 만들어 기강을 확립하기 위한 문 대표의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이번에 단호한 모습을 보이지 못한다면 리더십 약화가 가속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잠시 잠복돼 있던 친노-비노간 계파갈등이 다시 여과없이 분출되면서 문 대표로선 다시 한번 친노 프레임 극복이라는 무거운 산을 넘어야 하는 처지가 됐다.
'비선 논란'이 다시 불거지는가 하면, '불통' 공격을 받는 의사결정 방식도 다시 도마 위에 오르는 등 전반적 당 운영 스타일에 대한 비노측의 불만과 불신이 임계점으로 치달으면서다. 당 대표 취임 후 탕평인사 등을 노력해온 화합 노력도 원점으로 돌아갈 위기에 처했다.
문 대표는 이날 "'문재인은 친노 수장'이라는 말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노력을 계속 하겠다"며 정면돌파 의지를 밝혔다. 하지만 비노계 유력인사인 김한길 전 대표가 "오로지 친노의 좌장으로 버티면서 끝까지 가볼 것인지, 그야말로 야권을 대표하는 주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결단을 할 것인지 정해야 한다"고 포문을 여는 등 친노 패권주의 청산을 고리로 한 비노 진영의 압박은 거세지고 있다.
한 비노진영 인사는 "주 최고위원의 거취 문제의 향배도 결국 문 대표가 친노 패권주의 청산 등 지도자로서 책임있는 자세를 요구하는 김 전 대표와 박지원 전 원내대표와 어느 정도 접점을 찾느냐는 데 달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 중진인사는 "친노 패권주의의 실체가 있는 것인지 의문"이라며 "결국 문 대표 흔들기 아니냐"고 반문했다. 문 대표측 핵심인사는 "문 대표가 이번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100가지, 천가지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문 대표가 친노의 '굴레'를 벗어날 수 있느냐의 문제는 이번 광주 서을 보궐선거 결과로 확인된 싸늘한 호남 민심을 다시 붙잡을 수 있느냐와도 직결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호남 출신의 주 최고위원 사퇴를 끝내 막지 못한다면 호남의 '반노(반노무현) 정서'가 고조, '천정배 신당' 출현 가능성과 맞물려 원심력이 그만큼 커지면서 문 대표로선 걷잡을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 대표가 가까스로 이번 난관을 봉합한다 하더라도 여전히 험로는 예상된다. 재보선 패배에 이어 엎친데 덮친격으로 공무원연금 개혁 관철 실패로 이래저래 리더십에 상처를 입은 상황에서 대여 견제력 복원이 쉽지 않는 상황인 탓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친노를 쳐내야 문재인이 산다?” 벼랑끝에 선 문재인...살길은 ‘脫 친노’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