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가운데 9명은 치매에 걸리면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겠다는 의사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조기에 치매를 발견할 수 있는 검사는 높은 가격 때문에 망설이고 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은 지난해 12월 국민 1000명을 온라인으로 설문조사했더니 88.3%가 치매 진단 시 질병의 진행을 늦추는 치료를 받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11일 발표했다. 60.6%는 안정성과 치료 효과가 확실하지 않다는 점을 알고도 개발 중인 치료약을 복용하는 등 치매 임상시험에 참여하겠다고 답했다.
그러나 치매를 조기에 진단하는 FDG-PET(불화디옥시포도당 양전자 단층촬영) 검사를 받겠느냐는 질문에는 68.8%가 ‘받지 않겠다’고 응답했다. 이유로는 비용 부담(74.6%)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 검사는 평균 비용이 60만~120만원(보건복지부 고시 70만원)으로 보험 비급여 대상이다.
방사성 의약품을 체내에 주입해 이상세포를 탐지하는 FDG-PET 검사는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보다 이른 시기에 치매를 진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비싼 비용이 단점이다. 보건의료원은 지난해 9월 임상전문가들과 정책결정자들을 모아 놓고 FDG-PET에 건강보험급여를 적용할지 토론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국민 69% “치매 조기 진단 검사 받지 않겠다”… 최대 120만원 비용 탓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