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6일(이하 현지시간) 방미하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를 향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비롯한 과거 일제의 식민지배 및 전쟁 범죄를 진정으로 반성하고 사과하라는 미국내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미국 주요 언론들이 일제히 아베에게 과거사 반성을 주문하고 나섰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20일(현지시간) ‘아베 총리와 일본의 역사'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방미의 성공 여부는 아베 총리가 얼마나 정직하게 일본의 전쟁 역사를 마주할 것인 지에도 달려 있다”고 밝혔다.
NYT는 “아베 총리가 공개적으로는 전쟁에 대해 반성(remorse)을 표하고, 성노예 문제를 포함해 일본의 침략행위에 대한 과거의 사과를 존중하겠다고 말하고 있지만, 자신의 발언에 ‘모호한 수식어(vague qualifiers)'를 덧붙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는 그가 사과 문제를 진지하게 여기지 않고 있으며, 나아가 이를 희석하려 하고 있다는 의심을 사게 한다”고 비판했다.
NYT는 “일본이 21세기에 국제사회에서 지도적 역할을 하기를 아베 총리가 희망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일본은 자국의 과거에 대한 비판을 계속 거부하려 한다면 더 큰 역할을 신뢰감 있게 충족시킬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언론매체로 평가되는 NYT의 이 같은 사설은 아베 총리의 역사수정주의적 언행에 대한 미국 주류사회의 시각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워싱턴 포스트(WP)도 이날 도쿄(東京)발 기사에서 “아베 총리가 다음 주 행할 미국 의회연설은 지난 70년간 미국과 일본이 평화적 협력과 공통의 가치를 추구해온 점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비롯해 과거사 문제를 피상적으로 언급한다면 이 중요한 올해에 동아시아의 긴장이 더욱 고조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WP는 이어 “아베 총리와 같은 입장에 있는 일부 보수층 학자들은 일본군 위안부의 숫자가 훨씬 적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매춘부였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심지어는 일본의 전쟁범죄 행태가 다른 나라보다 더 나쁘지 않았다고까지 말한다”고 비판했다.
WP는 또 “역사수정주의적 성향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아베 총리가 식민지배와 침략으로 주변국에 다대한 손해와 고통을 입힌 데 대해 사죄한 무라야마(村山) 담화를 어떻게 다룰지 분명치 않다”며 “공개적으로는 과거의 담화를 전체로서 계승한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핵심어인 식민지배와 침략을 다시 쓸지가 불분명하다”고 덧붙였다.
진보 성향의 미국 정치전문지인 폴리티쿠스 유에스에이(PoliticusUSA)는 이날 칼럼을 통해 “아베 총리는 공개적으로는 미안하다고 말한다”며 “그러나 개인적으로 아베에게는 식민지 여성을 위안부(성노예)로 삼은 것이 불편한 진실일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러한 미 언론들의 주문은 방미가 가까워질수록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미국 언론들, 아베에 일제히 “과거사 사과하라”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