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운석 로또’라는 말까지 만들면서 관심을 받았던 ‘진주 운석’은 지금 어디에 있을까. 당시 운석을 팔면 큰돈을 벌 수 있다는 소문이 돌면서 ‘운석 사냥꾼’(Meteorite Hunter)에다 일반인까지 운석 찾기에 가세하는 진기한 풍경이 연출됐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운석신고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3월 9일 전국적으로 유성 낙하 현상이 목격된 다음 날 경남 진주 대곡면 한 비닐하우스에서 첫 번째 운석이 발견된 데 이어 17일까지 진주 일대에서 모두 4개의 운석이 나왔다. 일본강점기 때 발견된 국내 첫 운석인 ‘두원 원석’ 이후 71년 만에 나온 운석 4개에는 발견지역을 이름으로 짓는 국제적 관례에 따라 모두 진주 운석으로 명명됐다.
진주 운석은 모두 오디너리 콘드라이트(ordinary chondrite) H5 종류다.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대에 있다가 우주 공간으로 튕겨나간 뒤 지구 중력이 당겨 진주로 떨어진 것으로 추정됐다. 원래는 하나였으나 대기권을 지나면서 쪼개진 것으로 보인다. 가장 무거운 것은 20.9㎏, 가장 가벼운 것은 420g에 불과하다. 나머지 2개는 각각 9㎏, 4.1㎏이다.
지질자원연구원 측은 진주 운석을 본격 연구하기 위해 소유자 4명에게 ‘g당 1만원’의 가격을 제시했지만 아직 답을 듣지 못했다. 운석 가격은 ‘희소성’이 기준이다. 오디너리 콘드라이트는 전 세계적으로 몇 점 없는 ‘달 운석’이나 ‘화성 운석’보다 가치가 떨어지는 편이다. 국제 거래시세는 g당 1만원에 안 된다.
이승렬 운석신고센터장은 19일 “국내에서 71년 만에 발견된 점 등을 고려해 매입가를 조금 높게 책정했다. 운석 소유자들이 정부에 거액을 요구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고 정확히 어떤 가격에 팔고 싶은지, 팔 생각이 있는지조차 알 수 없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지질자원연구원은 운석 매입이 성사되면 전시·교육 용도로 활용할 예정이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운석 로또' 열풍 몰고 온 '진주 운석' 어디에 있나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