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함경북도 청진 출신인 김성렬(30)씨는 1990년대 식량난에 ‘꽃제비’(음식을 구걸하며 떠도는 북한 청소년) 생활을 했다. 1주일 동안 물만 먹고 지낼 때는 ‘이러다가 굶어 죽을 수 있겠다’는 공포에 사로잡히기도 했다. 결국 1997년 3월 가족과 함께 살얼음이 언 두만강을 건넜다.
중국 옌볜(延邊)과 허베이(河北)성을 떠돌던 김씨는 3년 만에 공안에 붙잡혀 북송됐다. 두 차례 더 탈북을 시도한 그는 2001년 중국 톈진(天津) 국수공장에서 일자리를 얻어 정착하는 데 성공했다.
육체적 어려움에서 벗어나자 ‘정신의 목마름’이 그를 아프게 했다. 글을 읽지 못하다보니 미래가 보이지 않았다. 라디오에서 들은 ‘한국에 오면 탈북자에게 교육 기회를 준다’는 말에서 새로운 목표를 찾았다.
2004년 9월 김씨는 제3국을 거쳐 한국으로 왔다. 불과 1년 3개월 만에 초·중·고 검정고시를 통과하고, 2007년 한동대에 입학했다. 꿈에 그리던 대학 교정에 섰지만 영어가 발목을 잡았다. 1학년을 마치고 휴학해 영어에 매달렸다. 어느 정도 자신감이 붙자 꿈은 한층 커졌다. 남북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를 아우르는 전문가가 돼 북한의 재능 있는 청년들을 글로벌 인재로 양성하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싶어졌다. 그래서 지난해부터 해외 유학을 준비했다.
김씨는 지난달 영국 글래스고우대학과 셰필드대학의 입학허가서를 받았고, 국제관계학 권위자가 많은 셰필드대학을 선택했다. 올 가을에 3년 예정의 유학길에 오른다. 1년에 4800만원 하는 학비와 생활비를 당장 마련할 수 없어 후원자를 구하고 있다. 그래도 그동안 겪은 일에 비하면 아무 것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김씨는 6일 “유엔본부와 같은 국제기구에서 경험을 쌓아 통일 조국에 이바지하는 외교 전문가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까막눈의 꽃제비, 탈북 11년 만에 영국 유학길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