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전환대출은 은행엔 독일까 약일까?

Է:2015-04-02 07:34
ϱ
ũ
안심전환대출은 은행의 수익성을 떨어뜨리는가? 은행권은 막대한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며 볼멘소리이고 금융당국은 거의 손실이 없거나 오히려 이익이라는 입장이다.

안심전환대출은 변동금리로 이자만 내는 만기일시상환 대출을 고정금리이면서 원금을 나눠 갚는 분할상환 대출로 전환해 주는 상품이다. 금융소비자는 원금을 나눠 갚는 대신 금리를 최대 1%포인트 넘게 낮출 수 있다. 반대로 은행은 일반 주택담보대출을 팔 때보다 낮아진 이율만큼 이자 수익이 줄어든다. 이후 안심전환대출 채권을 주택금융공사에 매각한다. 이 재원으로 주택저당증권(MBS)을 의무적으로 매입해 1년간 보유해야 한다. 은행이 안심전환대출을 넘긴 자금으로 또 대출을 집행하면 그만큼 가계부채가 늘어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주택금융공사는 안심전환대출 채권을 은행으로부터 양도받는 대로 올해 상반기 말부터 1·3·5·7·10·15·20년 만기의 MBS를 차례로 발행할 예정인데, 금융권은 MBS의 낮은 수수료 때문에 장기물의 인기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은행권이 안심전환대출 40조원을 취급하면 연간 수익 감소가 최대 4000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게 은행권 안팎의 전망이다. 은행권에서는 안심전환대출이 10년 이상의 장기대출인 것을 고려하면 앞으로 발생할 손실이 수조원에 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금융 당국은 단순히 안심전환대출의 금리가 낮다고 해서 은행권에 곧바로 손실이 발생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반박한다. 현재 주택담보대출에서 시중은행이 수익으로 얻는 예대 금리 차이는 연 0.2∼0.3%포인트 수준이다. 기존 대출이 안심전환대출로 바뀌더라도 대출 취급 시점에 약 0.2%포인트의 이자마진이 예상되고, 그 후로도 매년 0.1∼0.2%포인트의 마진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게 금융당국의 설명이다. 최대 마진이 다소 줄어들기는 했지만 그리 큰 폭은 아니라는 것이다.

더불어 다소 줄어든 이자 마진은 건전성 상승에 따른 자본비용 절감으로 보상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자산의 위험도를 평가할 때 주택담보대출은 위험가중치를 35∼70% 부과하지만, 주택금융공사 MBS는 위험가중치가 0% 수준이다.

또 금융당국은 MBS를 올해부터 금융사에 적용되는 건전성 규제인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의 유동자산 범위에 포함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MBS를 매입하면 LCR 규제 조건을 충족시키는 데 도움이 되게 한다는 의미다.

금융위 관계자는 "안심전환대출을 취급하면 기존 주택담보대출채권 위험과 분리되기 때문에 대손충당금 적립 부담이 없어지게 된다"며 "위험가중치 하락으로 자본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