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3A, 대전 항우연 지상국과 교신 성공...주·야간 지구 관측 시대 활짝

Է:2015-03-26 08:50
:2015-03-26 15:36
ϱ
ũ
아리랑3A, 대전 항우연 지상국과 교신 성공...주·야간 지구 관측 시대 활짝
한국의 다섯번째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3A호가 26일 새벽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동남쪽으로 1800㎞ 떨어진 야스니 발사장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정상궤도에 진입한 아리랑3A는 한국시간으로 이날 오후 1시 4분쯤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국과 첫 교신에 성공, 최종 발사 성공을 확인했다.

국산 위성으로는 처음으로 고성능 적외선센서와 국내 최고 해상도 광학렌즈 등 첨단 관측장비를 장착한 아리랑3A의 발사 성공으로 주·야간 전천후 지구 관측이 가능하게 됐다.

아리랑3A호의 발사 대행을 맡은 코스모트라스사는 “한국의 아리랑 3A호를 러시아 드네프르 발사체가 당초 예정대로 이날 새벽 3시 8분 45초(한국시간 오전 7시 8분) 야스니 발사장의 지하발사대(사일로)에서 발사됐다”고 밝혔다.

아리랑3A호는 이날 옛 소련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 SS-18을 개조한 드네프르 발사체에 실려 야스니 발사장 지하발사대에서 컴컴한 남쪽 하늘을 향해 발사됐다. 아리랑3A호는 발사후 14분 43초쯤 아라비아반도 남부 537㎞ 상공에서 드네프르 발사체와 분리됐다. 아리랑3A호를 실은 드네프르 발사체는 이날 발사 예정시각 지하발사대에서 압축 가스에 밀려 올라온 뒤 9초 뒤 1단 로켓 엔진이 점화되면서 남쪽을 향해 날아갔다.

아리랑3A호는 지상국에 첫 신호를 보내는데도 성공했다. 아리랑 3A호는 오전 3시 40분쯤(한국시간 오전 7시 32분) 남극 노르웨이의 KSAT사가 운영하는 트롤기지에 통신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첫 신호를 보내왔다.

발사 후 1시간 27분 뒤인 오전 4시 35분(한국시간 오전 8시 35분)에는 노르웨이 스발바르섬에 있는 기지국과 교신에 성공했다. 임무기간 동안 동력을 제공할 태양 전지판도 정상적으로 펼쳐졌다.

아리랑 3A호는 당초 예정대로 이날 새벽 3시 8분 우주로 향했다. 아리랑 3A호는 로켓에서 분리된 직후 태양을 향해 자세를 잡은 뒤 위성에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전지판을 펼쳤다.

위성의 정상 작동을 좌우하는 태양전지판과 다운링크 안테나(관측 정보를 지상으로 내려보내는 안테나)가 제대로 펼쳐졌는지 여부는 이륙후 5시간 57분 뒤인 한국시각 오후 1시 4분쯤 대전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정보연구센터 지상국과의 첫 교신에 성공함으로써 확인됐다.

최석원 아리랑3A사업단장은 국내외 발사 관계자들에게 감사를 표한 뒤 "아리랑 3A호가 앞으로 원하는 목적에 맞춰 가동에 들어가려면 3∼6개월간 운영 시험과 탑재체 시험이 순조롭게 끝나야 한다. 발사 성공은 첫 단추를 끼운 것으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기상 상황에 관계없이 지구관측을 수행하기 위해 항우연이 2006년부터 2373억원을 투입해 개발한 실용급 위성인 아리랑 3A호는 국내 최초의 적외선 관측 센서 및 국내 최고 해상도 광학렌즈를 탑재하고 있다.

해상도 5.5m급의 고성능 적외선 센서와 0.55m급 해상도 광학렌즈를 통해 도시 열섬효과 등 기후변화 분석과 재해재난ㆍ국토ㆍ자원ㆍ환경 감시 등에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고품질 위성영상을 하루 24시간 전천후로 공급하게 된다.

해상도 0.55m급 전자광학카메라는 가로세로 각각 55㎝짜리 물체를 한 점으로 인식하는 수준으로 지상의 사람을 인식할 수 있고, 물체가 내뿜는 파장 3.3∼5.2㎛의 중적위선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는 도시 열섬효과나 산불, 밤에 움직이는 구름 등을 관측할 수 있다.

아리랑 3A호는 크기가 직경 2m, 높이 3.8m, 폭 6.3m, 중량이 1.1t이며 발사 후 4년간 528km 상공을 돌면서 지구관측 임무를 수행한다. 하루 지구를 15바퀴 돌면서 주·야간 두차례 한반도 상공을 지나며 광학렌즈로는 10분간, 적외선센서로는 2분간 한반도를 촬영할 수 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아리랑 3A호 발사 성공!] 사진 더보기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