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암에 비해 비교적 생존율이 높다고 알려진 유방암도 치료 후 관리 방법에 따라 생존율이 크게 엇갈릴 수 있다.
첫 발병 후 5년간 추적 관찰을 통해 꾸준히 본인 상태를 체크한 환자들의 경우 사망 위험을 70%나 낮출 수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환자은 10년 사망률이 3배 가까이 높았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박연희 교수·이지윤 임상강사 연구팀은 2000년 1월부터 2008년 9월까지 유방암 치료를 받은 환자 3770명의 10년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이들은 유방암 1~3기 해당하는 환자들로, 한국유방암학회에 따르면 5년 상대 생존율이 1기 97.2%, 2기 92.8%, 3기 78.7%에 달한다.
이처럼 높은 생존율을 보이는 유방암이라도 첫 발병 후 5년간 정기검진을 받은 환자그룹(3300명)과 그렇지 않은 환자그룹(470명)의 결과는 매우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들의 10년 누적 사망률을 비교했더니 정기 검진그룹의 사망률은 8.8%였던 반면, 비검진 그룹의 25.4%에 달했다. 다시말해 정기 검진을 소홀한 그룹의 10년 사망률이 정기검진을 꾸준히 받은 그룹에 비해 2.88배 높다는 뜻이다. 검진그룹은 수술 등 1차 치료가 끝난 뒤 첫 5년간 3~6개월마다 병원을 찾아 각종 검사를 통해 재발 여부 및 치료 순응도 등을 체크해 왔다.
이러한 결과는 재발 환자가 병원을 찾지 않은 경우 등 통계분석의 여러 제한을 감안하더라도 정기 추적관찰을 받았는지 여부가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다만 연구팀은 병원을 자주 찾는 것이 재발률 자체를 줄어들게 하는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이번 연구에서도 검진그룹의 재발율은 10.6%, 비검진그룹 16.4%로 다소 차이가 있었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아니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최초 발병시 병변의 크기나 상태, 병기 등 여러 요소가 재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기 검진만으로 재발 자체를 막기는 어렵다는 의미다.
박연희 교수는 “유방암 치료 후 일상생활이 바쁘다보니 본인의 건강 상태를 꾸준히 챙기기 힘든 환자들이 더러 있다”며 “이번 연구처럼 같은 암이라도 정기검진 여부에 따라 장기 생존율이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의료진은 물론 환자 보호자 모두 관심을 갖고 계속 추적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대한암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유방암 생존율 높다고 안심은 금물...정기검진 소홀하면 사망률 3배 가까이 높아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