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심(90) 할머니는 일제 강점기인 1925년 전라도에서 태어났다. 어려운 형편이었지만 부모를 졸라 초등학교에 들어갔다. 하지만 어머니의 병환으로 6개월 만에 그만뒀다. 결혼 후 1남2녀의 어머니가 되고, 남편과 시장에서 포목장사를 시작했다. 자식만큼은 잘 가르치고 싶어 억척스럽게 일했다. 셈이 빠르다는 칭찬도 곧잘 들었다. 다만 마음 한 켠에 채우지 못한 배움의 갈증이 남았다.
김 할머니는 43세에 남편과 사별하고 포목장사도 어려워지자 경기도 안양에서 글을 잘 몰라도 할 수 있는 여관업을 시작했다. 고혈압으로 병원신세도 여러 번 졌지만 자식을 보며 견뎠다. 나이가 들면서 글자 하나 못 읽는 자신이 부끄러웠다.
김 할머니는 2006년 용기를 냈다. 이웃과 지인에게 물어물어 안양시민대학을 찾아갔다. 교육에서 소외된 성인을 대상으로 문해교육을 해주는 곳이다.
갈증을 채우려고 일주일에 2번씩 있는 수업에 거의 빠짐없이 참석했다. 자식과 같은 선생님이 알려주는 한글을 읽고 쓰는 게 너무 감사하고 신기했다. 자신도 모르게 눈물이 흐른 게 한두 번이 아니었다. 지난해 10월 학생들 앞에서 서정주 시인의 ‘국화 옆에서’를 낭송해 박수갈채를 받기도 했다.
김 할머니는 90세가 된 올해 새로운 도전을 결심했다. 지난 2일 ‘학력인정 문해교육 프로그램’에 입학했다. 1년간 교육부가 제공한 교재로 공부해 초등학교 졸업 학력을 인정받는 과정이다. 김 할머니는 11일 “무수한 역경을 견뎌 피워낸 한 송이 국화처럼, 졸업장을 받는 그날까지 공부의 끈을 놓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교육부는 올해 김 할머니를 비롯한 문해교육 대상자 4만여명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90에 초등과정 입학한 할머니 “공부의 끈 놓지 않을 것”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