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과 수도권의 주택 거래량이 설 연휴가 끼어 있음에도 2006년 이후 2월 거래량으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아파트보다 연립·다세대·다가구 주택의 거래 증가 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전세난’에 지친 수요자들이 연립·다세대·다가구 주택 등 매매로 돌아서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국토교통부는 2월 전국의 주택 매매거래량이 7만8864건으로 작년 2월보다 0.4% 감소했다고 9일 밝혔다. 올해 2월은 작년과 다르게 설 연휴가 끼어 있어 전국적으로 주택거래가 작년보다 소폭 감소했다는 게 국토부의 분석이다.
하지만 수도권 주택 매매거래량은 3만7502건, 서울은 1만2990건으로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각각 4.2%, 10.4% 늘었다. 이는 국토부가 주택거래량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6년 이후 2월 거래량으로는 가장 많은 것이다. 지방의 주택 매매거래는 4만1362건으로 4.3% 줄었다.
서울의 경우 한강 이남(10.8%)과 한강 이북(9.9%) 모두 증가했지만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는 거래량이 3.2% 줄었다.
강남권 거래가 줄었지만 다른 서울 지역이나 수도권의 거래가 증가한 것은 강남 재건축 등 거래보다 전세난에 따른 매매전환 수요가 많았음을 짐작케 한다.
거래량을 주택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5만7885건)는 1.6% 감소한 반면, 연립·다세대(1만1999건)는 4.6%, 단독·다가구(8980건)는 0.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2월까지 올해 누계로 보면 전국의 주택 거래량은 15만8184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4.3% 늘며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7만1803건)이 작년 1∼2월보다 16.5%, 서울(2만3995건)과 지방(8만6381건)은 각각 19.4%, 12.9%씩 늘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주택 시장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아파트 등의 전세수요가 비슷한 가격으로 매입이 가능한 연립·다세대·다가구 주택 등의 매매수요로 전환된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한편, 전국의 주요 아파트 단지 실거래가격은 강남권 재건축 단지는 약보합, 수도권 일반단지는 강보합, 지방 주요단지에서는 강보합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태희 선임기자 th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전셋값 올려주느니 차라리”…2월 서울·수도권 주택거래 10년만에 최대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