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돌발적 너울이 발생해 연안에서 재산·인명피해를 유발하는 ‘기상해일’(Meteotsunami)에 대한 감시망이 확대된다. 기상청은 기상해일에 따른 해양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기존에 발생 여부만을 판단했던 감시체계를 피해 예상지역까지 예측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강화했다고 2일 밝혔다. 기상해일이란 일반 저기압의 2배 빠른 속도(시속 80㎞)로 이동하는 저기압에 의해 발생한 해상의 파동이 서해를 지나면서 연안에서 증폭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일반 성인 키보다 높은 너울이 갑자기 갯바위나 방파제에 들이닥치기 때문에 주택가 침수, 어선 전복 등 재산피해뿐만 아니라 인명사고까지 유발한다.
기상청은 지난해부터 백령도·격렬비열도·흑산도 등 서해 최서단 3개 지점의 기압변동 자료를 토대로 기상해일 발생 가능성을 탐지, 관계기관에 통보해왔다. 하지만 먼 바다에서 발생한 기상해일이 연안으로 오는 동안 소멸하거나 피해 예상지역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기상청은 이달부터 감시 분석대상을 기존 3곳에서 연안 89곳으로 확대해 먼 바다에선 기상해일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연안에선 기상해일 피해 예상지역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개선했다. 예측시스템에서 나온 결과를 국민안전처와 한국수력원자력에 직통전화와 휴대전화 문자서비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해 사고예방 및 초동대응 시간을 확보할 예정이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기상해일을 아시나요?… 기상청, 감시망 확대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