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정치권에서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3월 중순으로 예정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고비가 될 전망이다.
호세프 정권이 경제 분야의 총체적인 위기와 국영에너지회사 페트로브라스 비리 스캔들 등이 맞물리면서 지지율 추락에 직면하면서 야권은 물론 집권당 내부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달 초 여론조사에서 호세프 정부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23%, 부정적 평가는 44%로 나왔다. 지난 2003년부터 좌파정권이 13년 만에 최대 위기를 맞았다는 평가다.
긴축과 증세에 초점을 맞춘 집권 2기 정부 정책은 집권 노동자당(PT)이나 연립정권의 최대 파트너인 브라질민주운동당(PMDB)으로부터 제대로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노동자당 일부 당원들은 호세프 대통령을 '굴러들어온 돌'로 표현하며 거부감을 드러내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노동당(PDT)에서 정치를 시작했으며 2001년 뒤늦게 노동자당에 합류한 호세프 대통령의 이력 때문이다.
영국 일간지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칼럼을 통해 호세프 대통령이 임기를 채우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FT는 연방의회 내 지지 기반 상실과 페트로브라스 비리 스캔들, 저조한 경제 실적, 물 부족, 전력난 등이 호세프 대통령을 탄핵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고 지적했다.
브라질 언론은 다음 달 중순 전국 50여 개 도시에서 벌어질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호세프 대통령의 정치적 입지를 좌우할 최대 고비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시위 참가를 촉구하는 시민·사회단체의 메시지가 속속 올라오고 있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정치 전문가들은 시위의 규모에 따라 탄핵으로가지 이어질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브라질 연방법은 연방 상·하원이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대통령을 탄핵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브라질에서 실제로 탄핵이 이뤄진 사례는 1992년에 있었다. 당시 측근의 비리에 연루된 의혹을 받은 페르난두 콜로르 지 멜루 대통령은 의회의 탄핵으로 쫓겨났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브라질 대통령 탄핵 현실화 되나… ‘3월 고비설’에 정치권 관심 집중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