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총리 인준 과정을 두고 원내 제1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과 소수야당 정의당 사이 파열음이 들리고 있다. 지난해 7·30재보선 이후 “야권연대는 없다”는 새정치연합과 진보진영 신당 창당을 추진 중인 ‘국민모임’과 4월 보궐선거 선거공조에 나서겠다는 정의당 간 불협화음이 진보진영 재편을 가속시킬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정의당 김제남 원내대변인은 17일 오전 국회 브리핑에서 새정치연합 안규백 원내수석부표의 한 방송 인터뷰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했다. 안 수석부대표는 전날 모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정의당과는 지난 11일부터 공감대를 형성해 나갔는데, 16일 정의당 의원총회에서 갑자기 입장이 선회했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본회의 표결 결과를 놓고도 새정치연합에서는 “과반에 필요한 숫자를 늘리기 위해서라도 참석해 반대표를 던졌어야 했다” “정의당이 부결표를 던졌다면 이 총리에 대한 찬성률을 더 끌어내릴 수 있었다”며 정의당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공공연히 나왔다.
정의당은 즉각 반발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정의당이 새정치민주연합과 공조를 취하다가 갑자기 입장을 바꿨다는 말은 사실과 다르며, 정의당은 공당으로서 일관되게 책임 있는 입장을 사전에 밝혀왔다”고 밝혔다. 정의당 의원단은 이미 지난 12일 본회의 불참의사를 밝히고, 표결 당일에도 공식 브리핑을 통해 표결 불참의사를 알렸는데, 오히려 뒤늦게 입장을 전한 새정치연합이 정의당을 비난하는 모양새가 어불성설이라는 것이다. 이어 “정의당과 관련해 사실에 맞지 않는 언급이 이뤄진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제1야당으로서 소수야당을 대함에 있어 진지한 성찰을 정중히 촉구한다”고 꼬집었다.
야권 내 냉각기류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일단 4월 보궐선거에서는 연대 가능성이 높지 않다.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는 전당대회 기간 내내 “선거 때마다 연대를 해야 하는 정당이라면 차라리 합당하는 것이 낫다”며 야권연대에 부정적 입장을 밝혀왔다. 정의당 천호선 대표도 16일 광주시의회 기자회견에서 “광주시민들이 서구을 보선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을 밀어준다면 내년 총선에서 필패하고 정권교체도 불가능하다”며 제1야당과 각을 세웠다. 또 국민모임 신당추진위원회가 지난 15일 정의당과의 회동에 이어 노동정치연대, 노동당 등 야권 세력과 연쇄접촉을 하며 4월 보궐선거 전략 공조에 나서고 있어 진보진영 재편이 생각보다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더 냉랭해진 옛 파트너 새정치연합과 정의당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