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진흥위원회가 아닌 침체위원회다. 현장 목소리 들어야 한다.” 영화계가 10년 만에 집단행동에 나섰다. “꼼수로 쥐락펴락하는 것은 시대착오적 발상이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한국영화감독조합 부대표인 ‘말아톤’ ‘좋지 아니한가’의 정윤철 감독 등 영화인들은 13일 영화진흥위원회의 사전심의 움직임 등 일련의 사태에 대해 “영화진흥위원회가 아니라 영화침체위원회” 등의 표현을 써가며 비판했다.
정 감독은 이날 오전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표현의 자유 사수를 위한 범영화인 대책위원회’ 기자회견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정 감독은 “영화 ‘국제시장’이 특정 이념을 담은 영화가 아닌데도 이념 논쟁으로 불필요한 논쟁이 생겼듯 영화를 미리 특정 집단이 평가하고 심의하고 등급을 매기는 것 자체는 굉장히 조심스러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영진위의 예술영화관 지원 개선방안에 대해서도 “입맛에 맞는 영화만 지원하겠다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영진위는 김세훈 위원장까지 10년에 걸쳐 교수 출신이 위원장으로 와서 현장을 잘 모르는 분들이 소위 한국 영화계를 말아먹고 있다”며 “이대로 영화침체위원회로 간다면 영진위 해체를 요구할 수도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 감독은 “부산시가 부산국제영화제를 컨트롤하려고 하는 무지한 일을 계속한다면 서병수 영화제 조직위원장의 퇴진을 요구할 생각도 있다”고 말했다. 대책위는 애초 부산시의 이용관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사퇴 종용에 대처하고자 12개 단체로 꾸려졌다가 영화진흥위원회의 영화제 사전 심의 시도와 예술영화관 지원 축소 등의 사태가 잇달아 벌어지자 70여개 단체와 영화제가 함께 하는 것으로 확산됐다.
영화인들이 집단행동에 나선 것은 2005∼2006년 스크린쿼터 축소 반대 이후 10년 만이다. 이은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회장은 “표현의 자유를 잃고 영화의 진흥이나 발전은 없다. 예술인에게 표현의 자유는 생명과 같으며 정부가 이걸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정부 당국에서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고 영화계를 길들이려고 하는 것을 본능적으로 느끼고 한 치의 양보를 할 수 없다는 판단 하에 영화계가 거의 다 모인 것”이라며 “영화계가 우려하는 일이 오늘 이후로 벌어지지 않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임창재 한국독립영화협회 이사장은 박근혜 대통령을 풍자한 영화 ‘자가당착’과 세월호 사고를 다룬 ‘다이빙벨’을 예로 들며 “현 정권이 관객과 차단시켜야 한다는 생각에 퇴행적인 일을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임 이사장은 “문화를 융성하려면 현장 영화인의 목소리를 더 듣고 소통해야지 안에서 꼼수로 영화계를 쥐락펴락하는 것은 굉장히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고 말했다.
임 이사장은 “최근 경찰청이라며 전화가 걸려와 영진위원장이 바뀌고 현장 독립영화인의 불편은 없는지, 영화인은 뭘 요구하는지 왜 문제인지 묻더라”고 밝히기도 했다. 최은화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대표도 “문화융성에는 좌우가 따로 없다. 문화가 더 풍성하게 꽃피우려면 틀 안에서 공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광형 문화전문기자 ghle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영화진흥위원회가 아니라 침체위원회”… 영화계 10년 만에 집단행동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