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스마트TV가 사람 말소리를 수집해 인터넷을 통해 제3자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외신들은 이 기능을 조지 오웰의 공상과학소설 ‘1984’의 텔레스크린에 비유하며 사생활이 침해당할 소지가 있다고 보도했다. 소설에서 텔레스크린은 각 가정의 벽면에 부착돼 빅브라더가 사람들을 감시하는데 쓰는 도구다.
9일(현지시간) 미국의 온라인 매거진 데일리 비스트와 영국 BBC 방송 등에 따르면 인터넷과 연결돼 있는 삼성 스마트TV는 사용자가 ‘음성인식 명령’을 활성화할 경우 TV 앞의 대화 내용(음성 데이터)이 수집돼 제3자에게 전송된다.
시청자가 명령한 내용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전송하는 것으로, 이 음성 데이터는 세계1위 음성인식 업체인 뉘앙스사로 보내진다. 뉘앙스사는 아이폰의 음성인식 엔진인 ‘시리’를 개발한 업체다. 이 회사는 TV로부터 전달받은 음성데이터를 분석해 이용자가 원하는 것을 TV로 다시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뉘앙스사로 음성이 보내지는 과정에서 특정 명령 뿐 아니라 거실이나 방안, 사무실 내부 등 TV 앞에서 들리는 모든 소리가 다 보내지게 된다.
삼성도 사생활 침해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매뉴얼에 “음성명령에 포함되는 사적인 내용이나 다른 민감한 정보도 수집돼 제3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는 경고 문구를 적시해 놓았다. 하지만 이 매뉴얼 내용이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다가 이번에 데일리 비스트가 발견해 ‘사생활 침해’ 우려를 제기한 것이다.
논란이 일자 삼성은 “음성인식 기능은 자동으로 실행되는 게 아니라 사용자가 TV 리모컨으로 선택해야 작동한다”며 “수집된 데이터도 보관되거나 제3자에게 팔거나 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 “또 대화내용이 녹음될 때 스크린에 마이크 모양의 표시가 나오기 때문에 현재 음성인식이 작동 중인지 여부를 바로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LG전자도 2013년 자사 스마트TV가 이용자 시청 패턴 정보를 수집한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해당 기능을 꺼두는 기능을 추가한 바 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삼성 스마트TV, 거실 얘기 녹음해 제3자에 전달 사생활 침해 논란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