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양호 2018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은 최근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제안한 해외 분산 개최에 대해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는 기존입장을 재확인했다. 하지만 “IOC가 분산 개최 후보도시 등 구체적인 제안을 해오면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밝혀 여지도 남겨뒀다.
조 위원장은 12일 서울 중구 조직위 사무실에서 임원들과 간담회를 열고 “IOC가 제정한 ‘올림픽 어젠다 2020’은 현재와 미래의 올림픽 운동에 매우 유효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여 개혁 의지를 높이 평가한다”면서도 “평창의 경우 이미 모든 경기장의 공사가 시작된 지금 시점에서 이번 개혁안을 적용하기는 어렵다”고 분산 개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현재로서는 유치 당시 원안대로 강원도 평창과 강릉, 정선에서 모든 경기를 치르겠다고 선을 그은 셈이다.
IOC는 지난 8일부터 이틀간 모나코에서 총회를 열고 올림픽의 기존 단일 도시 개최에서 복수 도시 또는 국가 분산 개최 가능성을 열어놓은 ‘올림픽 어젠다 2020’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와 관련해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과 2020 도쿄하계올림픽 일부 종목의 교류 개최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IOC 대표단을 내년 초 한국과 일본에 파견하겠다며 조직위를 압박했다.
이에 최문순 강원도지사가 지난 10일 기자회견을 통해 분산 개최 반대 의사를 밝힌 데 이어 조 위원장이 재자 불가능하다고 못 박은 것이다. 조 위원장은 테스트 이벤트가 시작되는 2016년 2월까지 얼마 남지도 않은 상황에서 분산 개최냐 아니면 평창 단독 개최냐를 놓고 논의할 시간조차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단독 개최를 관철시키기 위해서는 조직위가 IOC를 설득해야 하는 난제가 남아 있다. IOC가 복수 도시 또는 국가에서 올림픽을 열도록 개혁안을 만든 데는 평창조직위의 지지부진한 대회 준비가 빌미를 제공한 측면도 있기 때문이다. 평창조직위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예산분담을 둘러싼 갈등으로 유치 신청 당시 계획대로 대회 준비를 하지 못했다. IOC가 개최 비용 절감과 올림픽 시설의 사후 활용 방안을 고려해 개혁안을 만든 만큼 조직위로서는 시설의 사후 활용 방안도 적극 마련해야 한다.
조직위가 넘어야 할 또 하나의 산은 분산 개최에 대한 국내 여론이다. 비용절감을 위해 서울과 무주, 고양 등의 시설을 활용하자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의 입장을 대변해온 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이날 남북한 공동개최를 주장했다. 조선신보는 “지리적으로도 가깝고 설비가 세계적인 수준인 마식령스키장을 이용하면 어떤가”라고 제안했다.
서완석 국장기자 wssuh@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조양호 위원장 “ 평창올림픽 분산개최 불가…제의해오면 논의”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