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교양프로그램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가 일간베스트저장소(일베)에서 합성한 이미지를 방송에 내보내 논란이 되고 있다. SBS로써는 벌써 네 번째 같은 실수다.
세상에 이런 일이 16일 방송에선 가위를 이용해 종이 아트를 펼치는 ‘만능 가위 손’ 송훈씨가 등장했다. 이 프로그램은 송씨가 풍속화가 신윤복의 ‘단오풍정’을 본 떠 제작한 종잇조각 작품과 원작 그림을 비교했다. 그런데 원작으로 소개된 단오풍정 그림에서 목욕하는 여인을 훔쳐보는 동자승이 있어야 할 장소에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얼굴이 합성됐다. 일베에서 노 전 대통령을 비하하기 위해 만든 악의적 이미지가 또 방송을 탄 것이다.
이날 일베 게시판엔 ‘일베가 또 해냈다’는 식의 글이 도배됐다. 일베 회원들은 “일베하는 나도 저 그림은 처음 보는데” “세상에 이런 일이 PD는 이 시대 진정한 언론인” “이 짧은 순간에 발견한 사람도 대단하네” 등의 댓글을 달았다. 한 회원은 영상을 편집해 올린 후 “진짜 SBS에 ‘일베충’이 있는 것 아닌가”라고 적었다.
이들을 관찰한 결과 자신들이 만든 이미지로 인해 방송사고가 일어나면 일종의 성취감과 희열을 느끼는 듯 보였다. 그래서 이들은 단번에 알아차리지 못하는 수준에서 이미지를 변형해 퍼트리고 있다.
일베를 제외한 인터넷 커뮤니티 네티즌들은 “구글에서 단오풍정을 검색하면 해당 이미지가 나타나지 않는다”며 “의도적인 것 아니냐”는 의혹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실제로 구글에서 단오풍정을 검색하면 문제의 그림은 검색 화면 첫 페이지에서 찾을 수 없다.
지난해 10월 SBS 스포츠뉴스가 일베에서 합성한 연세대 로고를 사용해 논란이 됐을 때 SBS 측은 “스포츠 취재부에서 연세대 마크를 사용하기 위해 구글에서 큰 사이즈 이미지를 검색해 찾은 이미지”라고 해명한 바 있다. SBS는 지난해 8월에도 8시뉴스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을 희화화한 이미지를 사용해 논란을 불렀다. 이 문제로 SBS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주의’ 조치를 받았다. 그럼에도 SBS는 지난 3월 예능프로그램 ‘런닝맨’ 방송 중 일명 ‘일베대’ 로고를 사용해 또한번 물의를 일으켰다.
네티즌들은 “고의성이 없었다고 해도 같은 실수가 계속 반복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 네티즌은 “요즘 TV프로그램은 외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며 “외주 업체에 근무하는 일베 회원이 의도적으로 이 같은 짓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방송사들이 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데 대해 최영묵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종합편성 채널들이 진입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자 지상파 방송사들이 외주 업체에게 중요한 일을 맡기는 경우가 많아졌고, 그 결과 하향 평준화의 길을 걷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민석 기자 ideaed@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같은 실수 반복하는 SBS, 일베이미지 또 송출해 고의성 논란… 도대체 왜?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