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차기 CEO 권오준 낙점 의미·배경… “기술혁신서 미래 찾자” 내부 승진 전통도 이어

Է:2014-01-17 02:33
ϱ
ũ
포스코 차기 CEO 권오준 낙점 의미·배경… “기술혁신서 미래 찾자” 내부 승진 전통도 이어

포스코 이사회가 16일 철강기술 전문가인 권오준 기술부문장(사장)을 차기 최고경영자(CEO) 후보로 낙점한 것은 ‘기술혁신에서 회사의 미래를 찾으라’는 주문으로 해석된다. 포스코는 2000년 민영화 이후 네 차례 모두 내부 사장이 CEO로 승진하는 전통을 갖게 됐다.

권 사장은 비교적 늦게 포스코 근무를 시작했다.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난 뒤인 1986년 포스코 연구기관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에 입사했다. 전문 엔지니어가 아닌 본격적 기업인으로서의 포스코 근무는 1996년부터다. 관(官)의 성격이 강했던 공기업 시절은 거의 겪지 않은 셈이다. 따라서 “때가 덜 탔다”는 평가도 있다.

권 사장이 CEO 후보가 된 것은 기술경영 강화에 대한 요구로 이해된다. 이영선 포스코 이사회 의장도 “기술과 마케팅의 융합을 통해 철강 본원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신성장 고유기술 개발을 이끌 적임자”라고 말했다. 철강업계의 어려운 상황을 고부가가치 철강·소재 개발 등 기술혁신으로 돌파하라는 것이다.

포스코는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드는 등 창사 이래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가장 최근인 지난해 3분기 실적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38%나 감소했고 포스코 단독으로도 매출이 16.8%, 영업이익이 47.1%나 줄었다. 중국 철강업체의 추격과 세계적인 철강 공급 과잉 등으로 향후 전망도 밝지 않은 편이다.

권 사장은 강점인 기술 혁신 외에 다른 분야에서도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는 상황이다. 포스코는 최근 수년간 정준양 현 회장의 지휘 아래 에너지·자원 등 분야로 사업을 확장했다.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기 위한 방편이었으나 성과는 좋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이미 다각화한 사업을 재편하고 강력한 구조조정을 실시해야 하는 게 권 사장의 과제다.

정 회장과의 차별화를 어떻게 도모할지 주목된다. 권 사장은 정 회장의 고교·대학(서울대 사범대학 부설고교·서울대) 직속 후배다. 내부인사여서 조직에 칼을 들이대는 과감한 개혁이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지난해부터 불거진 정 회장 거취 관련 외압 논란으로 어수선해진 조직을 안정시켜야 하는 것도 당면 과제다. 포스코 관계자는 “남의 말을 경청하고 온화하고 합리적 리더십을 갖고 있어 빠른 시일 내 조직을 추스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포스코 이사회가 이례적으로 빠른 속도로 CEO 후보를 선정한 것은 눈여겨볼 대목이다. 이사회는 애초 예상과 달리 지난 15일 CEO 후보추천위를 구성한 지 하루 만에 단독 후보를 결정했다. 외부의 영향력이 개입할 틈을 주지 않으려 했다는 해석이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정치권의 매우 강력한 신호가 있었던 게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업계에서는 포항·광양제철소장 등 요직을 거치지 않았고 경영·재무라인 근무 경험도 없는 그의 발탁이 의외라는 시각도 있다. 권 사장은 정동화 포스코건설 부회장과 막판까지 경합한 것으로 알려졌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