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을 열며-박강섭] 지역관광 불균형 해소하자

Է:2013-12-26 01:28
ϱ
ũ
[내일을 열며-박강섭] 지역관광 불균형 해소하자

올 들어 1200만 번째로 방한하는 외국인 관광객 환영행사가 27일 제주국제공항에서 열린다. 지난해 1000만명 돌파에 이은 쾌거로 한·일 관계 악화, 중국의 여유법 시행, 그리고 세계적 경기침체 등 악조건 속에서 이룬 성과라 더욱 의미가 있다. 이런 추세라면 2020년에는 외국인 관광객 2000만명 시대로 무난히 입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국민관광객 총량도 2012년 3억6500만명에서 2021년에는 7억명에 이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관광산업의 급속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관광객의 방문지역을 분석해보면 마냥 기뻐할 일은 아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권역별 외래관광객 현황자료에 따르면 2012년에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의 80%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집중돼 지역불균형이 심각한 수준이다. 여행사, 호텔 등 관광사업체가 서울에 집중되어 있는데다 지방에는 관광산업과 관련된 이해관계자가 지역 관광정책에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통로와 구심점이 없거나 활성화되지 못한 때문이다.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해 ‘관광진흥법 일부 개정안’을 발의한 박성호 의원이 주최한 토론회가 최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렸다. 개정안의 골자는 기초자치단체의 관광사업자, 관광 관련사업자, 관광 관련단체, 주민 등 지역의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민관협력 관광거버넌스인 ‘지역관광협의회’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것이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김상태 선임연구위원은 주제발표에서 “관광의 영역이 쇼핑, 한류, 산업, 레포츠, 의료, 교육, 영성, 철도, 크루즈, 마이스(MICE), 카지노 등 고부가·고품격의 융복합형 산업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라며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관광과 관련된 지역의 모든 사업자와 단체가 참여하는 지역관광협의회가 구성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등 관광선진국의 경우 지역관광 발전을 위한 진흥조직으로 지역관광발전과 관련된 조직, 산업계, 공공부문, 자본가, 그리고 의회 등이 포괄적으로 참여하는 지역관광협의회를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지방정부 지원으로 관광객 유치, 관광지 정비, 관광정보 제공, 기금조성 등 공공의 관광정책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벳푸 온천으로 유명한 일본 오이타현의 사단법인 ‘투어리즘 오이타’와 유후인의 ‘지역관광협의회’가 성공사례이다.

우리나라도 관광특구협의회, 축제조직위원회, 지역문화보존회 등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협의체들이 구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최근에는 슬로시티, 관광두레, 농어촌체험마을, 사회적 기업 등 지역관광협의회 성격의 단체들이 큰 성과를 내고 있어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 지역관광협의회가 구성되면 지역불균형을 해소하고 지역관광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새로운 개념의 지역관광협의회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파이’를 둘러싸고 기존 조직과의 갈등이 불거질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여행사와 호텔 등 관광사업자 위주로 조직된 한국관광협회중앙회 산하에는 광역지방자치단체별로 17개 협회가 구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관광사업자의 이익 추구를 목적으로 탄생한 조직으로는 융복합 산업으로 발전하는 관광환경에 대응할 수가 없다.

민간의 자율성과 창의성 및 경쟁력이 중요한 현대의 관광산업은 오케스트라와 다름없다. 피아니스트가 여행사라면 바이올리니스트는 택시기사이고, 첼리스트가 문화관광해설사라면 플루이스트는 민박집 주인이다. 오케스트라의 모든 연주자들이 제목소리를 내면서도 협주로 아름다운 화음을 창조하듯이 다양한 분야의 관광 관련 주체들이 협력을 통해 지역관광을 견인하는 장이 지역관광협의회이다.

관광산업의 지역불균형을 해소하고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기존 단체들이 기득권을 버리고 상생의 대열에 합류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박강섭 관광전문기자 kspark@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