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권력지형 변화] 서기실-보위부-조직지도부 ‘체제 수호’ 막강 부서로

Է:2013-12-06 02:52
ϱ
ũ
[북한 권력지형 변화] 서기실-보위부-조직지도부 ‘체제 수호’ 막강 부서로

북한 국방위원회 서기실을 주축으로 국가안전보위부와 노동당 중앙위원회 조직지도부가 장성택(67) 국방위 부위원장의 실각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북한 권력 기구 구조도 바뀔 것으로 보인다.

먼저 서기실은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 의전을 넘어 국방위 및 당·정·군에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게 정부와 전문가들의 평가다. 사실상 청와대 비서실 역할을 하는 서기실이 장 부위원장 실각에 관여했다는 것은 김 제1위원장이 그만큼 서기실을 친위부대로 활용하고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 장 부위원장 실각 이후 급부상하고 있는 김 제1위원장의 이복 누나인 김설송도 서기실에서 근무한 적이 있고, 친동생인 김여정도 현재 서기실에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서기실은 서기 직책을 가진 직원만 300여명이나 될 정도로 대규모 인원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보위부의 위상 강화도 이미 북한 내부에서 감지되고 있다. 김 제1위원장이 지난달 29일 장 부위원장 실각과 관련된 대책회의를 열었다고 알려진 양강도 삼지연 방문 때 조선중앙통신은 수행자 명단을 발표하며 김원홍(68) 국가안전보위부장의 이름을 제일 먼저 호명했다. 국가정보원도 보위부가 장 부위원장 측근 내사를 벌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장 부위원장 실각 후 최룡해(63) 인민군 총정치국장의 영향력이 지나치게 확대될 경우 최 총정치국장의 영향력을 견제할 수 있는 간부는 김 보위부장이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

인사와 조직을 총괄하는 노동당 조직지도부도 위상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조직지도부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시절 김 위원장이 직접 부장을 맡을 정도로 위세가 대단했다. 정부 당국자는 5일 “조직지도부는 인사를 맡고 있는 만큼 우리의 청와대 민정수석실처럼 사정 업무도 맡고 있다”면서 “북한의 사법·검찰·공안기관을 지도하는 행정부가 해체된다면 그 기능이 조직지도부로 이관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정부는 북한이 조직지도부장 자리를 지금처럼 공석으로 남겨둔 채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이 직접 지시하는 형태로 조직이 운영될 것으로 보고 있다. 북한에선 신격화된 김일성 주석과 김 위원장 예우 차원에서 이들이 맡았던 직함은 공석으로 두고 있기 때문이다. 김 제1위원장도 국방위원장 대신 국방위 제1위원장이라는 직함을 쓰고 있다.

반면 행정부는 수장인 장 부위원장이 실각했고, 이용하 제1부부장과 장수길 부부장이 공개 처형됨에 따라 조직 자체가 와해됐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공개 처형된 이 부부장과 장 부부장의 죄명은 ‘월권’과 ‘분파행위’, ‘당의 유일적 영도체계 거부’ 등이라고 분석했다. 정 연구위원은 “이들이 장 부위원장의 뒤에 숨어서 ‘당 위의 당’으로 ‘내각 위의 내각’으로 군림하려 했다는 비판을 받았다”고 밝혔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