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증가율 0.2% 그쳐… 예금 증가도 주춤

Է:2013-12-06 01:32
ϱ
ũ
소득증가율 0.2% 그쳐… 예금 증가도 주춤

소득 증가세가 둔화된 가운데 예금 증가율도 정체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시중은행 대출은 꾸준히 늘어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대출 증가율이 예금 증가율을 앞질렀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3분기 국민소득(잠정)’을 보면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분기보다 0.2% 느는 데 그쳤다. 2012년 1분기(-0.1%)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실질 GNI 증가율은 지난해 2분기(1.5%) 이후 하락세를 보이다 올 1분기 0.8%, 2분기 2.9%로 상승한 후 다시 떨어진 것이다.

한국은행은 실질 GNI 증가율 둔화의 원인으로 석유가격 상승 등 교역조건 악화를 꼽았다. 실질 GNI는 실질 국내총소득(GDI)에 국외순수취요소소득(한국인이 외국에서 번 소득에서 국내 외국인이 번 소득을 뺀 것)을 더해 산출한다. 3분기 국외 순수취요소소득은 전분기보다 7000억원 줄었다.

한국은행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9월 은행의 총예금 평균잔액은 998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7% 증가하는데 머물렀다.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는 예금이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볼 수 있다. 3분기 총저축률(잠정)도 30.9%로 전기대비 0.4% 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대출은 꾸준히 늘어 9월 은행의 총대출 평균잔액은 1138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1% 늘어난 수치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마이너스였던 예대증가율 갭(대출증가율과 예금 증가율 차)은 올해 하반기부터 플러스로 돌아섰다.

대기업 부실에 따른 회사채 시장 경색과 금융소득 과세 강화가 원인으로 분석된다. 우선 STX, 동양 등 대기업들의 부실로 회사채 시장에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진 대기업들의 늘어난 은행 대출 수요가 원인이다. 아울러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 강화 정책에 따른 중소기업 대출 증가가 전체 대출 증가율을 끌어올렸다. 반면 박근혜정부의 금융소득 종합과세 기준 강화(5000만원 이상→2000만원 이상)로 거액 예금은 많이 빠져나갔다. 국민·농협·우리·신한·하나 등 5개 시중은행의 10억원 초과 예금 잔액은 지난 8월 말 231조5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7조2000억원(6.9%) 감소했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