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선 불공정” 파문] 청와대 “무반응도 반응… 국정원 조직적 개입 野 시각이 문제”
지난 대선이 불공정 선거였다는 민주당 문재인 의원의 성명이 나왔음에도 청와대는 여전히 기존의 ‘무반응·무대응’ 기조를 유지했다.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이 트위터 파문으로 확대 재생산됐다고 해도 엄연히 지난 정부 시절 벌어진 일인 만큼 박근혜정부와는 관계없는 일이라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23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무반응도 반응”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지난 대선에서 야당 후보였던) 문 의원이 성명이야 낼 수 있는 것 아니냐. 그렇다고 우리가 일일이 반응하고 대응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다른 관계자는 “지금 대통령과 청와대는 민생 이외에는 다른 말을 꺼낼 수 없다”면서 “국민 모두가 민생이 나아지길 바라는데 (야당의) 정치공세에 하나하나 대응할 이유는 없다고 본다”고 일축했다.
청와대는 문 의원이 강도 높게 제기한 권력기관의 대선개입에 대해서도 차분히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댓글을 달고 트위터글을 띄운 행위가 정치개입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에 검찰이 현재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이며, 그 수사가 종결돼 법원의 판단이 나온 이후에나 청와대 입장을 표명하면 될 일이라는 것이다.
일부 참모들은 이번 사건이 국정원 전체가 조직적으로 대선에 개입했다는 야당의 시각 자체가 문제라고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댓글과 트위터글 작성은 일부 구성원들이 한 행위일 뿐인데 마치 국정원 전체가 여당을 위해 선거에 개입한 것처럼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새로 발견된 트위터글 전체를 국정원이 조직적으로 개입해 작성했다는 야당 주장에 대해서도 동의할 수 없다는 게 청와대의 생각이다. 지난 대선에서 야당 후보를 비판하는 댓글이나 트위터글을 전부 국정원이 작성했다고 한다면 당시 여당 후보였던 박 대통령을 비난하는 모든 인터넷글도 전부 야당의 공작이라 해도 무방하냐는 논리다.
하지만 이번 사건 파장이 갈수록 더 커지는 데 대해서는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검찰 수사 초기까지만 해도 일개 의혹에 불과했던 일이 이젠 ‘지난 대선 자체가 관권선거’라는 야당 주장까지 일반화될 정도로 변질됐기 때문이다. 여권에서는 “청와대가 ‘대선에서 박 대통령이 국정원 댓글로 얻은 이익이 전혀 없다’는 원칙론에만 너무 매달려 야당의 각종 의혹 제기에 적극적으로 방어논리를 개발하지 못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신창호 유성열 기자 proco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