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비비고 만두, ‘제2의 초코파이’ 만든다”
CJ가 한식 브랜드 ‘비비고’를 앞세워 ‘식(食)문화 한류’ 불러일으키기에 나섰다. 드라마에서 시작돼 K팝으로 확대된 한류를 음식으로까지 넓힌다는 청사진이다. 한국형 만두로 글로벌 식품시장의 관문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부터 공략한다.
CJ그룹은 27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하얏트 리젠시 센추리 플라자 호텔에서 ‘CJ 식품 글로벌 기자간담회’를 열고 “그동안 음악과 영화 등을 통해 대중문화 한류를 세계에 알려온 것처럼 비비고로 식문화 한류를 이끌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관훈(사진) 대표는 “전 세계인이 매년 두세 편의 한국 영화를 보고, 매달 두세 번 비빔밥을 먹고, 매주 한두 편의 한국 드라마를 보고, 매일 K팝을 들으면서 일상에서 한국문화를 즐기게 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설명했다.
CJ는 2020년까지 식품 부문(제일제당, 푸드빌) 전체 매출을 15조원으로 늘리고 그 가운데 절반 이상인 8조원을 해외 시장에서 올릴 방침이다. 가공식품 유통점 및 레스토랑도 50여개 나라에 5만개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올해 CJ의 글로벌 식품 부문 예상 매출액은 5000억원으로 7년간 16배 증가해야 달성할 수 있는 수치다.
특히 CJ는 글로벌 시장 진출의 관문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 식품사업을 적극 육성할 계획이다. 주력 제품은 만두다. 올해 미국 내 비비고 만두 매출은 800억원으로 국내 매출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된다. CJ는 피가 얇고 고기·야채가 균형 있게 들어간 한국형 만두를 ‘제2의 초코파이’로 키울 생각이다. 이를 위해 LA 인근 플러턴 지역에 2만7000여㎡(약 8300평) 규모의 만두 공장을 짓고 있다. 오는 12월 공장이 가동되면 연간 2만t의 만두를 생산해 미국 전역과 캐나다, 멕시코 등에 판매하게 된다.
CJ가 해외 시장을 적극 공략하는 데는 동반성장위원회의 출점제한 등으로 국내 사업 전망이 밝지 않다는 점도 작용했다. CJ는 올해 그룹 전체 매출이 전년 대비 7∼8% 성장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해외에서 한식에 대한 인지도와 이해도가 여전히 떨어지는 점은 극복해야 할 과제다. 식자재 공급망 구축, 지역별 현지화 방안도 숙제로 남아있다.
이 대표는 이재현 회장의 공백에 따른 어려움도 털어놨다. 그는 “어느 사업이나 의사결정을 할 때 상당한 위험이 따르고 직관적으로 결정해야 하는 측면도 있는데 그런 부분을 적극적으로 못해나가는 게 현실”이라며 “올해만 해도 사료 부문 해외 인수·합병(M&A)이 계획돼 있었지만 보류됐다”고 털어놨다.
CJ는 2020년이 되면 그룹 전체 매출 100조원, 영업이익 10조원, 글로벌 매출 비중 70%를 돌파하는 ‘GREAT CJ’를 완성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그룹 매출은 27조원으로 그중 해외 매출은 8조원이었다.
로스앤젤레스=권지혜 기자 jhk@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