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CK,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 협상 재개 촉구

Է:2013-05-24 10:06
:2013-05-24 10:13
ϱ
ũ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와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KUMC) 연합감리교회 세계선교부(GBGM) 등이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한 평화협정 체결 협상을 즉시 재개하라고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지난 15~17일 미국 애틀랜타에서 ‘2013 에큐메니칼 한반도 평화 컨퍼런스’를 열어 한반도 평화를 위한 성명서를 채택했다고 23일 밝혔다.

NCCK는 성명에서 △ 남북한이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의 즉각적인 재개를 포함한 경제 협력과 대화 다시 시작 △ 남북한과 미국, 한반도 문제 관련국들이 평화협정 체결을 위한 협상을 즉시 재개 등을 요구했다.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는 북한에 대한 경제·통상 제재 조치 철회, 한국과 미국에는 모든 군사훈련 중단, 북한에는 적대적 행동 중단 등을 요청했다.

NCCK는 오는 2014년 7월27일을 한반도 평화주일로 선포하고, 올해 7월27일부터 평화협정 청원을 위한 백만인 서명운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국민일보 미션라이프팀

다음은 ‘한반도 평화 컨퍼런스’ 성명 전문(영문·국문)

A Call for Peace and Reconcili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2013 Ecumenical Korea Peace Conference

Atlanta, Georgia

May 15~17, 2013

Christ is our peace. As our Lord Jesus Christ broke down the walls of hostility that divide God’s people, we too are called to the ministry of reconciliation and peacemaking (Ephesians 2: 14-16). For too long, the Korean people have been divided and suffered from political brinkmanship, the wall of ideology, and the scourge of militarism. The Armistice Agreement of 1953 only temporarily halted the war that claimed 4 million lives and divided 10 million families. This lingering state of war on the Korean peninsula is a major contributor to tension and instability, both regionally and globally, and contravenes the spirit of the United Nations Resolution 39/11 which recognizes a people’s right to peace.

We Christians of different communions, gathered together in the common cause of peace, are deeply concerned about the growing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over recent nuclear testing in North Korea and U.S.-South Korea joint military exercises.

We join with the Korean people, both in North and South Korea in yearning for reconciliation, reunification and sustainable peace. Replacing the Armistice Agreement with a Peace Treaty is and should be the first step in establishing a lasting and sustainabl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support of the Korean people and in cooperation with ecumenical partners, we call on ourselves and all who desire to embrace and pursue peace to engage in the following actions to achieve a jus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1. Engage in prayers of penitence and petition with the Korean people, scarred and pained by the division of the nation; and support the efforts of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 in Korea (ROK), and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 (DPRK) for reconciliation, peace and reunification.

2. Urge both North and South Koreas to resume talks and economic cooperation, including immediate reopening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Kumkangsan Tourism.

3. Urge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North Korea and all stakeholders involved to immediately resume dialogue and negotiations to establish a Peace Treaty eliminating the threat of nuclear and conventional war thereby establishing an endur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world.

4. Urge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to end economic and commercial sanctions, the U.S. and South Korea to cease all military exercises, and North Korea to stop hostile actions in the pursuit of peace.

5. Continue to provide humanitarian support and economic development efforts for North Korea.

6. Engage in ecumenical initiatives including the following:

a. Pray, support and participate in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s 2013 Peace Train, an affiliate event of the 2013 WCC Assembly being held in Busan, South Korea.

b. On July 27, 2013, launch a campaign to gather one million signatures for a Korea Peace Treaty petition.

c. Proclaim July 27, 2014 as “Korea Peace Sunday”.

d. Hold a Korea Peace March in Washington, DC in 2014.

e. Bring an Ecumenical Peace Delegation to North and South Korea in 2015.

f. Work to ensure the adoption of the Korea Peace Treaty statement and other efforts in pursuit of Korea Peace are supported and affirmed by each of our respective denominations and churches.

“한반도 평화와 화해를 위한 청원” (국문)

2013 에큐메니칼 한반도 평화 컨퍼런스

아틀란타, 조지아

2013년 5월 15~17일

그리스도는 우리의 평화이십니다. 우리 주 예수그리스도께서 주의 자녀들을 갈라놓은 적대감의 벽을 허무셨듯이, 우리도 평화와 화해의 사역을 감당하도록 부름 받았습니다. (에베소서 2:14-16) 한국인들은 오랜 세월 동안 정치적 벼랑 끝 정책, 이념의 장벽 그리고 군사주의의 재앙으로 인해 분열되고 고통 받았습니다. 1953년에 체결된 정전협정은 400만 명의 생명을 앗아가고 1000만의 가족들을 갈라놓은 전쟁을 일시적으로 중지시켰을 뿐입니다. 한반도에 전쟁의 기운이 남아 있는 상태는 한반도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긴장과 불안정을 조장하였고, 또한 이러한 상태는 인간의 평화적 생존권을 인정하는 유엔 결의안 39/11의 정신에 위배되는 것입니다. 각기 다른 공동체로부터 평화라는 공동의 목적을 위해 함께 모인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최근 북한의 핵실험과 한미 군사훈련으로 인해 한반도에 긴장이 고조되는 것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합니다.

우리는 화해, 통일 그리고 지속가능한 평화를 갈망하는 남북한에 있는 모든 사람들과 함께 합니다.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하는 것은 한반도에 지속적이고 영구적인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이며, 그렇게 되어야만 합니다. 우리 민족의 지지와 에큐메니칼 파트너들의 협력 안에서, 우리는 우리 자신과 평화를 추구하고 옹호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한반도의 온전한 평화를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은 행동에 동참해 줄 것을 요청하는 바입니다.

하나, 조국의 분단으로 인해 상처받고 고통당하는 사람들과 함께 청원과 회개의 기도에 동참하고, 화해, 평화 그리고 통일을 위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와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의 노력을 지지한다.

둘, 남북한이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의 즉각적인 재개를 포함한 경제 협력과 대화를 다시 시작 할 것을 촉구한다.

셋, 한국, 북한, 미국 그리고 한반도 문제의 관련국들에게 핵과 재래식 전쟁의 위협을 제거하는 평화협정의 체결을 위한 대화와 협상을 즉시 재개할 것을 촉구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한반도와 전 세계에 항구적인 평화를 정착시킨다.

넷,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는 북한에 대한 경제 · 통상 제재 조치를 철회할 것을, 한국과 미국에는 모든 군사훈련을 중단할 것을, 북한에는 평화를 추구하며 적대적인 행동들을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

다섯,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과 경제 발전 지원을 계속한다.

여섯, 아래와 같은 에큐메니칼 행동 계획에 동참한다.

1. 한국 부산에서 열리는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 총회를 맞이하여 진행하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평화열차를 위해 기도하고 지원하며 참여한다.

2. 평화협정 청원을 위한 백만인 서명운동을 2013년 7월 27일부터 시작한다.

3. 2014년 7월 27일 “한반도 평화 주일”로 선포한다.

4. 2014년 워싱턴 D.C.에서 ‘한반도 평화 행진’을 개최한다.

5. 2015년 ‘에큐메니칼 평화 사절단’이 남한과 북한을 방문한다.

6. 우리 각각의 교단과 교회들이 평화협정 성명서 채택과 평화 추구를 위한 모든 노력들에 대해 지지하고 확언하는 것을 지키게 하기 위해 노력한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Ŀ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