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용산개발 사업협약 해제… 청산 돌입
단군 이래 최대 사업으로 불려온 30조원 규모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결국 청산 절차에 돌입했다. 투자주체 간의 소송전 등 후유증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최대주주인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은 29일 시행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PFV)에 사업협약 해제를 통보했다. 이로써 2006년부터 추진된 용산 개발사업은 첫 삽도 뜨지 못한 채 청산에 들어갔다.
코레일 측 한 관계자는 “채무불이행 등으로 사업 시행이 어려워진 데다 드림허브가 토지매매계약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협약을 해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코레일은 철도정비창 부지 땅값으로 받은 2조4167억원 중 5470억원을 지난 11일 대주단에 반환했다. 나머지 땅값도 은행에서 단기 자금을 빌려 오는 6월과 9월 돌려줄 예정이다. 30일에는 서울보증보험에 2400억원의 이행보증금을 신청할 예정이다.
민간 출자사들은 강한 정상화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이들이 자금을 끌어올 여력이 없는 데다 정부도 개입을 원하지 않고 있다. 코레일이 지난주 부지 소유권 이전 등기를 마쳐 개발을 하고 싶어도 땅이 없는 상황이다.
용산 사업에는 지금까지 모두 4조208억원(추산)이 투자됐다. 땅값 약 3조원을 제외한 9737억원은 이미 토지매입 취득세와 운영비 등 비용으로 처리돼 회수할 수 없는 돈이다. 모두 1748억원을 투자한 롯데관광개발은 사업 청산에 따른 타격이 심각할 전망이다. 이 회사는 이달 초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으며, 오는 8월 말까지 부실 해소를 하지 못하면 상장폐지된다. 국민연금(KB자산운용 위탁자금 1000억원)과 미래에셋(490억원), 서울시 SH공사(490억원), 우리은행(200억원), KT&G(150억원) 등은 사업이 파산하면 투자액을 찾지 못한다. 삼성물산 등 건설사들도 마찬가지다.
청산이 확정되면 민간 출자사들은 소송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서부이촌동 주민 2200여가구도 코레일, 롯데관광개발, 서울시 등을 상대로 소송을 할 계획이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