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풍향계-이승기] 스페셜올림픽과 장애인 인식

Է:2013-01-30 18:44
ϱ
ũ
[시사풍향계-이승기] 스페셜올림픽과 장애인 인식

“지적장애인이 당당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사회의 수많은 제약을 해소해야”

2013 평창 동계 스페셜올림픽은 지적장애인의 축제이다. 110개국 3165명의 선수단이 참가해 29일부터 2월 5일까지 개최된다. 1963년 미국 케네디 대통령의 누이동생인 케네디 슈라이버 여사에 의해 시작돼 1968년 시카고에서 1회 대회가 개최됐다. 하계와 동계 대회로 번갈아 2년마다 열리며 평창 동계 스페셜올림픽은 동계대회로서 세계에서 6번째, 아시아에서 3번째로 열리는 대회이다.

우리나라의 지적장애인은 2011년 기준으로 16만7479명이며 인구대비 0.3%이다. 이들이 받는 한 달 평균 임금은 39만3000원이다. 그해 1인당 최저생계비가 53만2583원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열심히 일해도 국가가 보장하는 최저생계비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러한 현실에서 가장 힘든 사람은 지적장애인 본인과 부모 및 가족이다. 보통 부모는 자식을 먼저 보내는 일을 참척(慘慽)으로 여기지만 지적장애인의 부모는 그렇지 않다. 부모가 먼저 세상을 뜨면 자식을 돌봐 줄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지원의 성숙도는 우리 사회가 공동체 사회인지 여부를 가늠하는 주요 지표다. 지적장애인은 우리 사회에서 1%도 되지 않는 소수이지만 이들의 삶을 방치할 것인가, 아니면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사회가 나설 것인가는 우리의 몫이며 또한 선택이다. 이들은 우리 사회의 주변부로 밀려나 있지만 자신의 삶을 충분히 자기 스스로 살아가고 있다. 자신의 노력과 더불어 이를 지원하는 사회적 노력이 제도적으로 뒷받침되고 발전된다면 지적장애인과 가족의 삶은 우리 사회의 구성원과 같은 정도의 삶의 수준에까지 향상될 것이다.

이번 스페셜올림픽을 통해 주목하는 것은 지적장애인이 삶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인간적인 삶을 누리지 못하고 있는 이유가 지적장애인 개인 능력의 제한성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의 어려운 환경이 고착화되도록 방치하는 사회적 구조와 체계 때문이다.

지적장애인의 능력이 신장되고 사회로부터 시작되는 수많은 제약이 해소된다면 지적장애인은 사회구성원으로서 당당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출발점은 지적장애인이 스스로 원하는 바를 일상생활에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며 이러한 지적장애인의 목소리에 우리 사회가 귀 기울이고 경청하며 반응하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이것은 지적장애인 개개인이 원하는 요구를 파악해 그들 각자가 원하는 삶에 대한 개별화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지적장애인의 가족과 더불어 우리 사회가 지적장애인의 지원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하는 것을 말한다.

이 같은 사회적 체계가 구축되면 다양한 전문가와 서비스 제공자와의 협력적 관계를 기반으로 지적장애인이 스스로의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적장애인의 삶의 영역은 스페셜올림픽에서 보여준 스포츠 활동과 더불어 교육, 문화·예술, 고용, 건강, 안전, 사생활 보호, 주거, 정보접근, 경제생활, 정치참여 등을 포괄하는 모든 삶의 영역에까지 이르러야 하며, 이때 비로소 지적장애인이 지역사회에 통합된 삶을 살아간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 또한 국가별로 다르다. 이 같은 국가별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국제사회는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이를 위해 국제사회의 공공영역, 민간영역 그리고 시민사회 간의 연대와 공동 대처 노력이 보다 강화돼야 한다. 국제적 연대와 노력을 토대로 전 세계의 지적장애인이 자신의 삶을 당당히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국제사회 공동체가 함께 추구해야 할 목표라고 할 것이다.

2013 평창 동계 스페셜올림픽에 세계 각국의 유명인사가 모인다. 그 중에는 아웅산 수치 여사를 비롯해 중요 인사가 많다. 그런데 여기서 던지고 싶은 질문은 “그래서 어떻게 하려고?”이다. 지적장애인은 그들의 참석보다 자신들의 고통을 어떻게 공감하며 해결할 것인지가 훨씬 중요하다.

이승기 성신여대 교수 사회복지학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