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이상 산모 사망률, 20대 후반보다 8배 높아
출산 연령 고령화 등으로 인해 출산 전후 사망하는 산모가 늘어나고 있다. 40대 이상 산모의 사망 비율은 20대 후반보다 8배 가까이 높았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09~2011년 사망원인 보완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10만명당 산모가 사망한 비율인 ‘모성사망비’는 17.2명으로 2010년 15.7명보다 9.2% 증가했다. 모성사망비는 임신과 관련된 원인으로 임신 또는 분만 후 42일 이내에 숨진 여성을 해당 연도의 출생아 수로 나눈 수치다. 2007년 14.6명에서 2008년 12.4명으로 큰 폭으로 떨어졌던 모성사망비는 2009년 13.5명으로 다시 늘어난 이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2010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국의 평균 9.3명의 1.7배 수준이다.
모성사망비 증가는 고령 산모가 늘면서 평균 출산연령이 높아지는 것과 관련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연령별 모성사망비를 보면 40세 이상은 79.7명으로 가장 높아 가장 낮은 25~29세(10.0명)의 7.97배였다. 20대 후반을 비롯해 24세 이하(10.9명), 30~34세(12.4명) 등은 비교적 낮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35~39세(30.1명)부터 급증하는 모습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평균 출산연령은 2009년 30.97세에서 지난해 31.44세로 높아졌고, 전체 산모 가운데 35세 이상 고령 산모가 차지하는 비율은 같은 기간 15.4%에서 18.0%로 증가했다.
반면 영아사망률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출생아 1000명당 사망아 수인 영아사망률은 3.0명으로 전년의 3.2명보다 5.1% 감소했다.
맹경환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