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침체’ 엔화 ‘추락’… 엎치고 덮치는 한국경제
글로벌 경기침체, 환율 추락(원화 가치 상승)으로 이중고를 겪는 우리 경제에 우울한 소식이 날아들고 있다.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7.4%에 그친 중국 경제가 더 나빠질 수 있다는 전망이 끊이질 않고 있다. 중국은 우리나라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3.9%에 이른다. 여기에 일본의 대규모 경기부양도 우리 경제를 수렁으로 몰아넣고 있다. 엔화 가치가 떨어지면 세계시장을 놓고 일본산 제품과 경쟁하는 우리의 수출 경쟁력 하락은 불 보듯 뻔하다. 산 넘어 산이다.
경기침체에 허덕이는 전 세계가 잇따라 돈 풀기에 나섰다. 지난달 미국의 3차 양적완화에 이어 중국과 일본도 30일 동시다발적으로 유동성 확대 조치를 단행했다. 특히 미국과 일본의 잇단 양적완화로 우리나라 등 신흥국으로 자금 유입이 커지면서 환율 변동 폭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은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국채 등을 매입하는 자산매입기금을 11조엔(141조원) 증액한다고 발표했다. 8월 70조엔이던 자산매입기금은 지난달 80조엔, 이번 조치 이후 91조엔으로 늘어나게 됐다. 일본은행이 두 달 연속 금융완화 조치를 취한 것은 2003년 이후 처음이다.
디플레이션에 허덕이는 일본은 지난 2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1%’를 목표로 설정해 금융완화를 계속하고 있다. 금융완화 조치가 투자·고용 확대로 이어지고 경기회복 및 경제성장으로 연결되길 바라는 시나리오다. 이번에 증액된 자산매입기금은 장·단기국채 매입에 10조엔, 기업어음(CP) 및 사채 등 매입에 1조엔이 투입된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이날 일본은행의 금융완화는 그러나 과감한 돈 풀기를 요구한 정부의 기대치에는 미치지 못했다는 평가다. 마에하라 세이지(前原誠司) 경제재정담당상은 두 달 연속 금융정책결정회의에 참석해 과감한 금융완화를 주문했다. 정부는 당초 20조엔 규모의 금융완화를 원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도 일일 규모로는 사상 최대의 유동성 확대 조치를 단행했다. 시중에 푼 3950억 위안(약 71조원)이다. 전문가들은 월말에 급증하는 자금 수요를 고려해 대규모 유동성을 공급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조치는 사실상 지급준비율을 한 차례 인하한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앞서 인민은행은 지난 23일 910억 위안, 25일 2250억 위안 규모의 유동성을 추가 공급했다.
일본은행의 자산매입기금 확충 등 잇단 유동성 확대 조치 영향으로 원화 절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경상수지도 악영향을 받게 될 전망이다. 이명활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국제금융연구실장은 “미국과 유럽, 일본까지 3대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양적완화를 하거나 할 예정”이라며 “불어난 유동성이 신흥국으로 유입되면 원화는 달러화와 엔화에 대해 절상 추세로 가게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 실장은 또 환율 변동성도 잦아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대희 한국개발연구원(KDI) 거시·금융정책연구부 연구위원도 “대외 의존도가 높고 수출기업이 많은 국내 경제구조상 무역 경쟁력이 떨어져 경상수지에 다소간 악영향을 미치는 것은 어쩔 수 없어 보인다”고 평가했다.
남혁상 이경원 기자 hsna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