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으로 조성된 낙동강변 110개지구 생태공원, 지자체 관리 재원 부족… 곳곳 방치
“4대강 사업을 했다고 해서 더 좋아진 줄 알았는데 산책로가 온통 흙 범벅이네요.”
추석연휴를 앞둔 27일 낮 12시30분쯤 경남 창녕군과 함안군 사이 낙동강변에 있는 미실자연공원의 흉측한 모습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입을 다물지 못하게 했다. 산책로와 여러 운동시설들은 온통 모습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흙이 뒤범벅인 상태였다. 태풍 ‘산바’가 할퀸 흔적도 곳곳에 남은 채 방치돼 있었다.
좀 일찍 고향인 경남 창녕을 찾은 김모(51)씨는 이를 보고 “강 주변에 공원을 조성해 쾌적한 환경을 만드는 것도 좋지만 제대로 관리하지 않고 방치한다면 안 한만 못하다”고 지적했다.
부산 화명, 삼락동 일대에는 심지어 뱀까지 떠내려 와 독사주의보가 내려지기도 했다. 태풍으로 부산생태공원 대부분이 물에 잠겨 복구비용만 3억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됐다. 경남 창원시 북면생태공원은 농구대 6개 중 3개가 쓰러졌다. 배드민턴 코트 4개 코트 중 2곳에는 그물이 없거나 찢어진 상태로 나뒹굴고 있다. 찔레나무, 조팝나무 등을 심어놓은 화단의 화초류는 말라죽은 지 오래다. 인근 창원 동읍 본포생태공원도 곳곳이 토사가 파헤쳐진 상태였다.
지자체들은 관리비가 턱없이 부족해 제대로 관리하기가 어렵다고 볼멘소리다. 이들 공원은 4대강 정비사업으로 생겼다. 110개 지구에 완공됐거나 이달 말 완공을 앞두고 있다. 자치단체들은 개정된 하천법에 따라 지난 7월 1일부터 관리권을 국토관리청에서 넘겨받았다. 그러나 지자체들은 관리비 부담 때문에 고민이다. 낙동강 수변생태공원 관리를 떠맡은 지자체들이 내년에 요구한 예산액만 400억여원이다.
재정자립도가 낮은 의령군(16%), 창녕군(15%), 합천군(11%)의 경우 상황은 심각하다. 의령군 관계자는 “호국의병의 숲 공원에 올해 지원된 국비는 1억4000만원으로 필요한 9억원에 너무 못 미친다”며 공원을 거의 방치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했다.
사정이 이러니 자치단체들은 공원에서 유료 야구장과 골프장 등 다양한 방식의 수익사업을 할 수 있도록 허가해 줄 것을 바라고 있다. 하지만 하천법에 금지하고 있는 사항이어서 법 개정이 필요하다. 권유관 경남도의원은 “놀리는 둔치에 농약이나 비료 등을 쓰지 않는 조사료 재배단지를 만들면 축산농가를 돕고 보기에도 좋으며 관리비도 적게 드는 일석삼조의 효과가 있다”고 제안했다.
부산 국토청 관계자는 “우선 태풍 산바로 침수된 곳이 많아 낙동강생태공원 현장점검을 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복구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창녕=글·사진 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