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외교안보장관회의 소집… 北 지도부 이상징후 감지?
북한의 최고인민회의가 끝나자마자 이명박 대통령이 이례적으로 외교안보장관회의를 소집했다. 정보당국이 최고인민회의 공식 결과 외에 다른 중요 결정이나 북한 지도부 내부의 변동을 감지한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은 25일 브리핑을 통해 “이 대통령 주재로 26일 오전 7시30분 외교안보장관회의가 개최된다”면서 “대통령은 최근 북한 상황을 비롯한 외교안보 현안을 보고받고 관련 대책을 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통상 한 달에 한 번 청와대에서 열리는 외교안보 관련부처 회의는 큰 현안이 없을 경우 천영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을 중심으로
외교통상부 통일부 국방부 등 각 부처 차관들이 참석한다. 대통령 주재로 장관들이 소집되는 회의는 지난 6월 말 이후 석 달 만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회의에선) 최근 연평도 근처 서해상에서 벌어진 북한 선박들의 북방한계선(NLL) 침범 등 대선을 앞둔 한반도 정세 전반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있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독도와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등을 둘러싼 한·중·일 영토분쟁이 다뤄질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경제5단체장과 가진 오찬 간담회에서 “정치권을 중심으로 논의되는 경제민주화를 빌미로 과도한 반(反)기업 정서가 일방적으로 확산되는 것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나도 공생발전과 동반성장을 얘기했는데 그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서로를 보완하면서 기업 문화를 바꾸자는 것”이라며 “이 문제(경제민주화)는 정서적인 문제다. 기업들이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할 것이니 정치권도 정서적인 측면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경제5단체장들은 “정치권 경제민주화 논의로 기업들의 의욕이 상실되는 측면이 있다. 기업에 대한 사기진작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어떤 정책이라도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국회가 과도하게 기업인들을 출석토록 요청하고 노사 관련 일부 입법안이 기업 활동을 위축시킬 수도 있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그러자 이 대통령은 “경제가 어려운데 기업 역할이 중요하다. 투자가 줄고 소비가 위축되는 게 걱정이다. 일자리는 기업이 만드는 것”이라고 했다. 참석자들은 이 대통령이 여야를 막론하고 경제민주화를 차기 대선 공약으로 삼아 대대적 캠페인을 벌이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고 전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