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박근혜 진정성 있는 후속조치 필요하다

Է:2012-09-24 18:41
ϱ
ũ

사과 늦었지만 다행, 과거 얽매인 선거전 벗어나야

새누리당 박근혜 대통령 후보가 어제 부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 시대의 잘못된 역사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과거사 문제에 얽매여 있던 대선전이 생산적 방향으로 나아가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

박 후보는 긴급 기자회견에서 “5·16과 유신, 인혁당 등으로 헌법가치가 훼손되고 대한민국의 정치 발전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며 잘못이 어디에 있는지를 적시했다. 이는 5·16과 유신에 “공과(功過)가 있다”거나 “평가를 역사 판단에 맡겨야 한다”며 모호하고 유보적이던 태도를 취했던 것에서 벗어난 것이다. 인혁당 사건과 관련해서도 수사·재판·사형집행 과정 등에서 인권이란 헌법이 보호하는 가치를 침해했음을 인정했다. 박 후보는 이어 “상처와 피해를 입은 분들과 가족들에게 다시 한번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국민대통합위원회를 통한 고통 치유 노력을 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박 후보의 사과는 만시지탄이다. 지난 7월 16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에서 5·16이 “경제 발전과 국가 안보를 위해 당시로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발언을 한 지 두 달이 지났고 지난 10일 ‘인혁당 2개 판결’ 발언으로 비판 여론이 제기된 지도 2주일이나 돼서야 국민 눈높이를 고려한 입장 정리가 나왔다.

문제 발언 직후나 박 후보가 대선 후보로 선출돼 국민통합 행보에 나설 때 이 문제를 폭넓은 관점에서 풀고 갔으면 진정성이 높이 평가받았을 것이다. 뒤늦게 사과에 나서니 지지율이 떨어진 현실에 밀려 마지못해 사과를 한 것처럼 비치는 것이다.

비록 시기는 늦었지만 박 후보가 “대한민국 대통령 후보로 나선 이상 과거사 부분에 대해 보다 냉정하고 국민과 공감해야 한다는 생각에 이르렀다”고 말한 것은 적절한 인식이다. 국가 지도자가 되려는 인물은 개인보다 국민 전체를 바라보고 국가의 이익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 과거 문제를 객관적이고 편견 없이 바라볼 수 있어야 하고, 역사관은 공명정대해야 한다. 아버지 무덤에 침을 뱉는 일이 쉽지 않는 일이겠지만, 선배 정치인으로서의 박 전 대통령은 넘어설 수 있어야 한다.

이제 박 후보의 과제는 약속한 후속 조치들을 성실히 실행에 옮겨 사과의 진정성을 보여주는 일이다. 국민대통합위원회를 구성해 장기적인 화해 프로세스를 만들어 나가든 유신 피해자나 유족을 찾아가 사과하든 국민들이 진심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정치 지도자들의 역사인식이 그저 선거전에서 표를 모으기 위한 일시적 방편으로 오락가락하게 되면 국민 사이 갈등이 점점 커지고 화해의 길은 더 멀어진다.

야권 대선 후보들도 선거 전략을 위해 과거사 문제를 증폭시켜 국민들의 시선을 과거에만 붙잡아 두려 해서는 안 된다. 박 후보는 과거사 파동을 계기로 현실을 무시한 채 박 후보만 감싸고 들려는 측근을 경계하고, 쓴소리를 깊이 새겨들을 줄 알아야 할 것이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