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의 샘] 공자의 덕은 집대성
공자의 덕을 집대성이라 부른다. 집대성이란 종을 쳐서 연주를 시작하고, 옥을 쳐서 연주를 거두어 마친다는 말이다.
孔子之謂集大成 集大成也者 金聲而玉振之也
맹자, 맹자 ‘만장(萬章) 하’
맹자가 공자의 덕을 칭송해 비유한 말이다. 공자는 음악에 대해 남다른 관심과 애정을 보여, 몇 차례 흥미로운 말을 남겼다. 그중 하나를 소개하면 이렇다. 공자가 노나라 태사에게 음악에 대한 말을 했다. “어떤 것이 좋은 음악인지 알겠습니다. 시작할 때엔 화합하듯이 하고, 연주를 이어갈 때에는 조화를 이루면서도 분명해야 하며, 끊김 없이 이어져 한 장을 마치는군요.”
흡(翕)은 모든 연주자들이 화합하여 시작하는 것이다. 한나라 경학자 하안(何晏)은 성대하다는 의미로 풀었다. 순(純)은 실이 엉키지 않는 것처럼 각각의 연주가 뒤엉키지 않고 조화를 이룬다는 의미다. 교는 각각의 연주가 분명하면서도 따로 놀지 않는다는 의미다. 역(繹)은 호흡이 매끄럽지 못하거나 끊김 없이 자연스럽게 연주되는 것이다. 노나라 태사가 지휘한 관현악 연주를 듣고 남긴 평인데 짧은 말 속에 음악에 관한 공자의 깊은 이해가 엿보인다.
이 때문인지 맹자는 공자의 덕을 음악에 비유해 집대성(集大成)이라고 했다. 성(成)은 하나의 악기가 연주하는 독주이고, 대성(大成)은 여러 악기가 함께 연주하는 관현악이다. 고대에는 관현악을 연주할 때 종을 쳐서 일제히 시작하고 큰 옥을 쳐서 마쳤다. 맹자의 말을 풀어보면, 다른 성인들의 덕은 하나의 악기가 빚어낸 최고의 연주와 같다면 공자의 덕은 이 각각의 연주가 모여 완벽하게 조화를 이룬 관현악과 같다는 뜻이다. 그래서 금성옥진(金聲玉振·종을 쳐서 시작하고 옥을 쳐서 마친다)이라고 했다.
공자의 덕을 완벽한 오케스트라 연주에 비긴 것이다. 인간의 덕을 기린 말 가운데 이처럼 감동적인 비유가 또 있을까. 성균관 대성전(大成殿) 노란 은행나무 아래 가만히 귀 기울여보라. 바람도 숨죽이는 고요 속에 웅장하고 아름다운 덕음의 오케스트라가 들릴지 모를 일이다.
이규필 (성균관대 대동문화硏 선임연구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