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北항공기 영공통과 금지”
이라크가 시리아행 북한 항공기의 무기수송을 의심해 영공 통과를 불허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라크 정부는 21일 무기를 싣고 시리아로 향한다는 의혹에 휩싸였던 북한 항공기의 영공 비행을 허가하지 않았다. 이 북한 국적기는 22일 이라크를 지날 예정이었다.
알리 알 무사위 이라크 총리실 대변인은 “이라크 영토와 영공을 통해 시리아로 무기가 전달된다는 의혹을 조사하는 것이 이라크 정부의 방침”이라며 이번 조치의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북한에서 시리아로 가려는 이 비행기의 여행 스케줄이 의심을 사게 했다”면서 “이 문제로 이라크 정부와 북한 간에 접촉은 없었다”고 밝혔다.
이라크 정부는 또 서방 소식통이 20일(현지시간)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정부군을 지원하기 위해 무기와 군사요원을 실은 이란 항공기가 이라크 상공을 통과했다”고 보도한 내용도 부인했다. 논란이 됐던 이란발 무기이동 의혹은 로이터가 지난 19일 자체 입수한 보고서를 인용해 보도한 것이다. 통신은 이란 최정예 혁명수비대가 이라크 영공을 지나는 민간항공기로 거의 매일 수십t의 무기를 시리아 정부군과 친정부 민병대에 보내고 있다고 전했다.
이란산 무기의 시리아 유입 문제는 19일 워싱턴DC에서 열린 로버트 비크로프트 신임 이라크대사의 인준 청문회에서도 거듭 제기됐다. 비크로프트 대사는 “이라크 정부에 (의혹을 사는) 비행을 중단시켜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강조했다. 존 케리 미 상원의원은 “이라크가 영공 통과 비행을 중단하지 않는다면 미국은 이라크에 대한 지원을 재검토해야 한다”며 경고의 수위를 높였다. 서방 외교관 중에는 이란과 이라크가 영공 사용에 합의했다고 지적하며 무기수송에 두 대의 이란항공 소속 보잉 747이 연루됐다고 언급한 이들도 있다.
무사위 대변인은 이런 의혹 제기에 대해 “(최초로 의혹을 제기한) 미국 정부가 이라크 정부의 거듭된 요청에도 불구하고 이란 국적기가 이라크 영공을 통해 시리아로 무기를 실어 나른다는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고 반박했다.
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