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3사, 2011년 위약금 3157억 징수
KT와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의 지난해 위약금 규모가 3000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전병헌 의원(민주통합당)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받은 ‘이통3사의 지난 2년간 위약금 수익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동통신 3사가 서비스를 해지한 고객들로부터 받은 위약금이 모두 3157억원에 달했다. 총 681만명이 평균 5만원 정도의 위약금을 물고 통신사를 바꾼 것이다.
업체별로는 KT가 해지고객 271만3000명에게서 총 1304억7000만원의 위약금을 챙겨 1위에 올랐다. 이어 LG유플러스가 해지고객 218만3000명으로부터 1017억원, SKT가 191만8000명에게서 835억4900만원의 위약금을 받았다.
올 들어서도 7월까지 이동통신 3사의 위약금 수입 총액은 1289억원이었다. 7개월 동안 303만명이 1인당 4만2000원을 지불한 것이다. 그러나 ‘보조금 대란’이 벌어진 지난 8월에는 모두 112만명이 번호이동으로 통신사를 옮겨 470억원의 위약금이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SKT와 KT가 추가로 11월부터 ‘약정할인 위약금 제도’를 시행하려 해 논란이 예상된다. 이 제도는 약정기간 중에 중도해지하면 그동안 할인받은 만큼 위약금을 물리는 제도다. 전병헌 의원은 “약정기간이 오래된 가입자일수록 중도해지 때 더 많은 위약금을 물게 될 수 있다”며 “이 제도 도입은 시기상조로, 통신사들의 배만 불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 이통사 관계자는 “통신사의 위약금 제도가 없다면 이용자들이 폰테크를 할 우려가 있다”며 “통신사의 위약금은 보조금에 비해 훨씬 적어 이를 통해 수익을 본다는 건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홍해인 기자 hih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